Food Microbiology (FM) | Probiotics in Nutrition and Health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2; 50(3): 347-353
https://doi.org/10.48022/mbl.2206.06010
Chae-Yun Moon1, Hong-Ju Son2, and Moon-Soo Heo1*
1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Republic of Korea
2Department of Life Science and Environmental Biochem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5046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MoonSoo Heo, msheo@jejunu.ac.k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 synbiotic mixture of probiotics and 3% inulin on the growth, non-specific immune response, and mortality due to disease resistance of Paralichthys olivaceu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n 8-week diet of synbiotic-added feed,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P. olivaceus, Analysis of the hematological parameter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AST, total protein, and cholesterol among the group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T and glucose contents. Fur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ysozyme activity of the synbiotic and control group after 8 weeks' feeding. In addition, when the symbiotic mixture was used rather than probiotics alone, the NBT activity of the synbiotic group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Moreover, when only probiotics were used, the cytokine expression in the spleen of the sampl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pleen of the synbiotics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ytokine expression in the liver, intestine, and kidney of the three groups. Lastly, after injection for 2 weeks, the mortality rates of the control group towards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parauberis, and Streptococcus iniae were 95, 85 and 85%, respectively; those of the probiotics group were 85, 80, and 80%,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synbiotics group were 80, 80, and 85%, respectively.
Keywords: Synbiotics, probiotics, prebiotics, Paralichthys olivaceus, non-specific immune, Bacillus cabrialesii
FAO에 따르면 양식업은 2018년 1억 1,450만 톤으로 사상최고치를 찍었고 연평균 5.3%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있다[1, 2]. 국내중 제주도는 가장 높은 어류 생산량을 보이고 있고 2020년 도내 어류양식현황에 따르면 넙치 물량이92.8%로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이처럼 양식장에서는 생산되는 물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밀도 사육을 하거나 또는 오랫동안 운영되어온 양식장의 노후화된 시설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질병 발생률이 증가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대량 폐사로 이어질 수 있다[3].따라서 이러한 세균성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혈청과 생백신 등[4−6]을 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 제주도의 양식장에서는 연쇄구균병(Streptococcusis) 9.76%, 비브리오병(Vibriosis), 1.35% 및 에드워드병(Edwardsiellosis) 0.55%의 폐사율이 보고되고 있으며[7], 2013년부터 2015년도까지 조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쇄구균병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었다[8].
최종적으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양식장에서는 항생제를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내성 균주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약제의 이용은 병원체 간의 내성 발생률만 증가시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9]. 따라서 화학적요법의 대안으로 probiotics가 많이 연구되어 왔고 실제로 어류의 성장률[10] 및 생존 능력[11] 등과 같은 이로운 효과가입증되어왔다. 더 나아가 prebiotics와의 혼합을 통한synbiotics가 주목을 받았는데, 이는 pH 산도나 장내 환경에따라 생존하기 어려운 probiotics의 생존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prebiotics를 첨가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실제로 부착 능력과 성장을 자극시켜 장내 항상성과 건강함을 유지시켜준다고 알려져 있다[12].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probiotics인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에 위치한 양식장에서 자치어 사이즈 넙치를 받아 조천읍 함덕리에 위치한 제주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에서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어는 수조에 적응하도록 2주간 순치시켰고 넙치의 초기 평균 무게는9.9 ± 2.5 g, 평균 길이는 9.1 ± 0.5 cm로 1 ton 원형 수조에 각각 대조구, 단일 프로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구를 70미씩 3반복으로 두었다. 해수의 상태는 수온 14.1−18.5℃, pH 7.22−8.09, 염분 30.74−31.72‰, DO 7.26−9.50로 유지되었고사료는 1일 2회 어체중의 2−3%씩 총 8주간 급이 하였다.
실험사료는 시판되고 있는 넙치 전용 배합사료(조단백질54%, 조지방 10%, 조섬유 3%, 조회분 15%, 칼슘 1.5%, 인2.7%, Suhyup Co., Korea)를 사용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와신바이오틱스는 이전 연구결과[13]에 따라 inuline 3%와
실험어의 무게와 길이 측정은 무작위로 5−10마리를 선발하고 평균을 내었고 혈액 채취를 위해 하루 전 절식시킨 후 100 ppm 농도의 2-phenoxyethanol (Sigma-Aldrich, USA)을 이용하여 마취시켜 진행되었다. 혈액학적 분석을 위해 각각의 수조의 넙치 5미를 무작위로 선별하고 미부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항응고제가 처리되지 않은 원심 분리 관에 넣은 후 5,000 ×
혈청의 식세포 분석은 Anderson과 Siwicki (1995)에 따른실험방법[14]을 따라 분석되었다. 혈청 40 μl를 0.2% Nitroblue tetrazolium (NBT, Sigma-Aldrich)과 혼합한 뒤 상온에30분 반응시키고 1 ml dimethylformamide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다음 2,000 ×
혈청의 Lysozyme은 Ellis (1990)의 분석방법[15]에 따라진행되었다. 활성 테스트는 혈청 10 μl와 0.05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2)로 혼합한
넙치의 사이토카인이 발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quantitative 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넙치의 장기 조직인 간, 신장,비장, 장을 각각 분리하여 Hybrid-R™ kit (Geneall®, Korea)을 사용하였고 total RNA을 추출하였다. 다음 cDNA합성을 위해 ReverTra Ace-α-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Toyobo, Japan)를 사용하고 난 후 30℃에서 10분, 42℃에서 20분 반응시킨 뒤 99℃, 5분 열처리하고 4℃에 보관하였다. 다음 qRT-PCR에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샘플은 5 × HOT FIREPol EvaGreen Qpcr Supermix (ThermoFisher Scientific, USA) 4 ul, Forward primer와Reverse primer는 각각 0.5 ul, DEPC distilled water 14 ul, cDNA 1 ul 넣고 혼합하였다. 다음 CFX96™ Real-Time system (Bio-Rad; CFX 384)를 이용하여 initial denaturation 95℃에서 12분, 45 cycle 동안 95℃에서denaturation 10초, annealing 60℃, 15초 elongation 72℃에서 30초간 수행한 뒤 PCR 산물은 1.5%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프라이머로 사용된sequence는 Table 1에 표기하였다.
Table 1 . Gene specific primers and gene bank accession number of
Gene | Sequence (5'-3') | Base pair (bp) | Accession No. | |
---|---|---|---|---|
β-actin | F | CATCAGGGAGTGATGGTGGGTA | 107 | HQ386788.1 |
R | ATACCGTGCTCGATGGGGTACT | |||
TNF-α | F | CAGCAGCGTCACTGCAGAGTTA | 120 | AB040448.1 |
R | GTTACCACCTCACCCCACCATT | |||
IL-1β | F | CATCACCACTGTCTGCTGGAAA | 122 | KF025662.1 |
R | GCTACTCAACAACGCCACCTTG | |||
IL-10 | F | AGCGAACGATGACCTAGACACG | 114 | KF025662.1 |
R | ACCGTGCTCAGGTAGAAGTCCA |
사료 내 단일 유산균
Relative percentage of survival (RPS) = 100 − 100 × (test mortality/control mortality).
모든 실험의 분석은 SPSS (IBM®, USA)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test)로 통계 분석을 진행하고 Tukey test t-test (
일반적으로 어류 유산균 사료 첨가제로 많이 연구된
Table 2 . Antibacterial activity of LAB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IW1 | FW2 | WG3 | SGR4 | FCR5 | |
---|---|---|---|---|---|
Control | 12.8 ± 2.3 | 25.6 ± 6.0 | 107.8 ± 67.5 | 3.7 ± 1.9 | 2.2 ± 1.4 |
Probiotics | 12.6 ± 1.8 | 26.8 ± 4.4 | 115.2 ± 41.4 | 4.1 ± 1.0 | 1.5 ± 0.3 |
Synbiotics | 10.8 ± 0.8 | 26.6 ± 4.3 | 146.5 ± 38.1 | 4.8 ± 0.8 | 1.3 ± 0.4 |
1, initial weight (g/fish)
2, final weight (g/fish)
3, weight gain (%) = (final weight-initial weight)/initial weight × 100
4, Specific growth rate (%) = [(final body weight-initial body weight)/time(days) × 100
5, Feed conversion ratio (%) consumed/weight gain
Table 3 .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of
ALT (U/L) | AST (U/L) | GLU (mg/dl) | TP (g/dl) | CHO (mg/dl) | |
---|---|---|---|---|---|
Control | 24.3 ± 3.5 | 20 ± 1.7 | 14.7 ± 2.3 | 2.5 ± 0.3 | 189.7 ± 2.5 |
Probiotics | 24.3 ± 3.2 | 11 ± 1.0 | 14.7 ± .6 | 3.4 ± 0.2 | 122.0 ± 1.0 |
Synbiotics | 19.0 ± 2.6 | 20 ± 2.0 | 15.0 ± 1.7 | 3.7 ± 0.3 | 160 ± 2 |
Lysozyme 활성은 그람 양성균을 용해하고 음성은 직접적으로 용균 작용을 하며 보체와 항체의 도움으로 용균 반응이 증강된다고 알려져 있다[24]. 또한 비특이적 면역 반응 요소 중 하나로 유산균 첨가 또는 주사제로 인한 라이소자임활성에 유익[25]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8주동안 대조구와 비교 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Fig. 1). Nitroblue tetrazolium (NBT) 활성의 결과는 호중구와 대식세포와 같은 식세포가세포 내의 산화 반응에 따라 청색 물질로 환원되는 것을 지표로 본 연구에서는 8주차에 대조구에 비해 synbiotics구가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Fig. 2). 이처럼 유산균을 혼합한 경우 틸라피아는 15일째[26], 무지개 송어는 4주 후 NBT 감소가 약간 증가됨을 시사했고[27], 넙치에서는 4주부터 증가[28]되었으나 본 연구에 사용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는 사이토카인 발현 cascade초기 단계에 관여[29]하며 혈액 내 단핵구와 호중구의 비율이 증가하여 유산균을 섭취 시 어류의 선천적인 면역이 증가[30]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2주간의 인위 감염을 검토해본 결과, 대조구는
본 연구는 기존의 probiotics로서의 안전성을 입증한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Jeju National University in 2022.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Chae-Yun Moon and Moon-Soo Heo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1; 49(4): 552-558 https://doi.org/10.48022/mbl.2106.06004Young-Gun Moon, Moon-Soo Boo, Chi-Hoon Lee, Jin-Kuk Park, and Moon-Soo Heo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4; 52(1): 1-14 https://doi.org/10.48022/mbl.2309.09001Seung-Min Yang, Eiseul Kim, So-Yun Lee, Soyeong Mun, Hae Choon Chang, and Hae-Yeong Kim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3; 51(1): 128-131 https://doi.org/10.48022/mbl.2301.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