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lecular and Cellular Microbiology (MCM) | Microbiome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2; 50(1): 135-146
https://doi.org/10.48022/mbl.2202.02001
Seul Ki Lim1, Jieun Lee2, Sung Soo Park3, Sun Yong Kim4, Sang Min Park4, Ji Ye Mok4, Hyunah Chang4, and Hak-Jong Choi3*
1Fermentation Regulation Technology Research Group, World Institute of Kimchi, Gwangju 61755, Republic of Korea , 2Industrial Solution Research Group, World Institute of Kimchi, Gwangju 61755, Republic of Korea, 3Kimchi Functionality Research Group, World Institute of Kimchi, Gwangju 61755, Republic of Korea, 4Pharmsville Co., Ltd., Seoul 0779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Hak-Jong Choi, hjchoi@wikim.re.kr
Obesi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profound dyslipidemia, insulin resistance, and fatty liver disease. Recent reports have suggested that alterations in gut microbiota can be linked to diet-induced obesity. In this study, the anti-obesity effects of Weissella confusa WIKIM51 isolated from kimchi were investigated, as evidenced by: i) reduced lipid accumulation and downregulated adipogenesis-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ii) suppressed gains in body weight and epididymal fat mass; iii) reduced serum lipid levels, for example,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v) increased serum adiponectin levels and reduced serum leptin levels; v) downregulated lipogenesis and upregulated β-oxidation-related genes in the epididymal fat; and vi) altered microbial communities. The collective evidence indicate the potential value of W. confusa WIKIM51 as a functional food supplement for the prevention and amelioration of obesity.
Keywords: Weissella confusa, lactic acid bacteria, anti-obesity activity, Kimchi
현대사회에서 비만은 흔한 질환이지만, 대사증후군, 고혈압, 심장병, 암, 수면장애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건강문제로 전 세계의 공중 보건을 위협하고 있다[1]. 비만은 만성적인 잉여 에너지가 체지방의 형태로 축적되는 현상으로 단순하게 체중이 증가하는 것이 아닌 지방세포의 과도한 증식 및 분화를 야기함으로써 체중이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2]. 체내 지방의 축적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 중에는 고지방 및 고단백 식이를 하는 서구화된 식·생활 습관이 주요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3, 4].
최근,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기술의 발전으로 인체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비만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관련성을 입증하려는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숙주의 식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비만은 장내 미생물의 군집 및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여 장내 미생물 불균형(dysbiosis)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5, 6]. 실제로 비만 마우스의 장내 미생물을 정상 또는 무균 마우스에 이식하자 체중 증가 및 대사 장애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장내 미생물이식이 에너지 이용과 지방 및 간 조직의 지방산 대사 조절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7−10]. 따라서 장내 미생물 군집의 조절은 비만 개선에 있어 대사 장애에 대해 독성이 없고, 안전한 잠재적 치료법이 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 내에서 숙주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여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의미한다[11]. 프로바이오틱스의 유익한 효과는 장내 균총의 개선, 정장작용, 항비만, 항암, 면역활성 등이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11−14].
김치는 다양한 원부재료와 부재료로 만든 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이다. 특히, 김치의 발효는 다양한 유산균에 의해 이루어지며[15], 그 중
따라서,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동물실험을 통해 김치 유래 유산균
민들레 김치 유래
3T3-L1 전지방세포주를 10% calf serum (CS)와 100 unit/ml의 페니실린과 100 ng/ml의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USA) 배양액을 사용하여 37℃에서 5% CO2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를 교환할 때마다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용액을 사용하여 세포표면을 세척하였고, 신선한 10% CS 배지를 포함하는 DMEM 배양액으로 교환하였다. 세포가 단일층으로 플라스크 바닥에 80% 정도 부착하면 PBS 용액을 사용하여 세포표면을 세척하여, 0.25% trypsin-EDTA (Gibco) 용액을 첨가한 뒤 원심분리 하였다. 이들 세포를 6-well plate에 1 × 105 cells을 균등하게 분주하였으며, 10% fetal bovine serum (FBS)와 100 unit/ml의 페니실린과 100 ng/ml의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DMEM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100% confluent stage 2일 후, 10% FBS를 함유한 DMEM 배양액에 adipogenic cocktail인 dexamethasone 0.05 μM, IBMX 0.25 mM, 인슐린 2 μg/ml이 함유된 배양액으로 교환하여 3일 분화를 유도하였다. 3일 후 배양액 교환 시 5 μg/ml 인슐린만을 포함하는 10% FBS를 함유한 DMEM 배양액으로 3일간 처리하였고, 마지막 3일간은 10% FBS를 함유한 DMEM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시료들이 지방분화과정에서 지방축적(lipid accumulation)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Oil Red O 염색을 실시하였다[21]. 100% confluent stage 2일 후, adipogenic cocktail 첨가 배양액, insulin 첨가 배양액, FBS 배양액 교환 시, 시료들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으며, 9일의 분화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다음 10% 포름알데히드로 10분간 고정시켰다. 10%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고 다시 포화된 포름알데히드를 넣어 1시간 이상 세포를 고정시켰다. 그 후 60% isopropanol을 넣고 바로 제거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Oil Red O 염색용액으로 30분간 지방구를 염색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염색된 지방구의 세포 내 지방축적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사진촬영을 통해 육안적으로 시료들이 지방분화 시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축적된 지방 확인을 위해 잘 건조된 상태에서 isopropanol을 첨가하여 Oil Red O dye를 용출한 뒤 multi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isopropanol을 blank로 사용하였다.
Real-time PCR 방법을 통해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3T3-L1 지방세포 및 지방 조직 내 total RNA는 Trizol reagent (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각각의 분리된 RNA 1 μg을 TOPscriptTM cDNA Synthesis kit (Enzynomics, Korea)와 S1000 Thermal Cycler (Bio-Rad, USA)을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각각의 primer (Table 1), nuclease-free water, TOPrealTM qPCR 2x PreMIX (SYBR Green)를 넣고 BioRad CFX-96 Real Time System (Bio-Rad)을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Realtime quantitative PCR의 조건으로서: initial denaturation은 95℃에서 10분, 그리고 40 cycles을 95℃에서 10초, 55℃에서 10초, 72℃에서 30초간 수행하였다.
Table 1 . List of oligonucleotide primer pairs used in real time RT-PCR.
Gene | Sense | Antisense |
---|---|---|
5-ACGAACTGTGACCTGGAGAG-3' | 5'-CTTCCGAGCATCCAGATAGA-3' | |
5'-TGCTCTGATTCTTGCCAAA-3' | 5'-ACCCAAAATCCCTAAACC-3' | |
5'-ACCCTGAGGCATCTATTGACAG-3' | 5'-ATGACATACTCCCACAGATGGC-3' | |
5'-TGTTCCTTGTGCACCCCATT-3' | 5'-GTAGGTGTGTGAGCCGTCAA-3' | |
5'-GTGCCATCGTCTGCAAGATTC-3' | 5'-GCATCACCACACACCAATTCAG-3' | |
5'-TTCCTGGCATAAGGCCCTATT-3' | 5'-CCTCCAGACATCAGGTACTCG-3' | |
5'-GAAACTTTGGAGGCCAGCA-3' | 5'-CGCCATCCCTTAGTTCACTGG-3' | |
5'-CTGCAGAGCAACCATCCAGAT-3' | 5'-GCCGAAGGTCCACCATTTT-3' | |
5'-GCCCTTTGGTGACTTTATGGA-3' | 5'-GCAGCAGGTTGTCTTGGATG-3' | |
5'-CCTCCGGAAATGAACGAGAGAA-3' | 5'-CCTGATAGGTGGGGTCGTGA-3' | |
5'-GTTACCACTGGGACGAC-3' | 5'-CTCAAACATGATCTGGGTCA-3' |
본 연구에서 수행된 동물실험은 세계김치연구소 동물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WIKIM IACUC 202034). 실험동물은 생후 5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를 ㈜오리엔트바이오(Korea)에서 구입하였다. 상업용 고형사료로 7일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 대조군(HFD),
Table 2 . Experimental design.
Groups | Diet composition |
---|---|
ND | Normal diet |
HFD | 45% High fat diet |
Supplement | 45% High fat diet + Supplement without |
WIKIM51(9) | 45% High fat diet + |
WIKIM51(10) | 45% High fat diet + |
체중은 주 1회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예비사육 직후의 체중을 초기(initial) 체중으로 하고 10주 후의 체중을 마지막(final) 체중으로 하여 체중 증가량을 계산하였다. 식이는 주 2회 동일한 시간에 공급하였고, 전에 남은 사료의 양과 새로 공급한 사료의 양을 측정하여 그 차이로 사료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실험 종료 전, 실험동물은 최소 12시간 절식시킨 후 CO2 가스 흡입 안락사 방법으로 희생하였다. 복부를 개복한 다음, 하대정맥에서 채혈하였다. 채혈된 혈액은 2,5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간, 부고환 지방은 적출하여 생리 식염수에 세척하고, 여과지로 수분을 제거한 후, 중량을 측정하였다. 혈청 및 조직은 분석 직전까지 -80℃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glucose (Glu),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BUN은 자동 생화학 측정기(FUJI DRI-CHEM 7000i, Fujifilm,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중의 adipokine인 adiponectin, leptin, insulin의 함량은 Bio-Plex Pro Mouse Diabetes Assay 8-plex (Bio-rad)를 사용하여 Bio-Plex MAGPIX Multiplex Reader에서 측정하였다.
부고환 지방을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10% 중 성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여 5 μm 두께로 절편하고, hematoxylin과 eosin (H&E) 염색을 실시하였다. 염색된 부고환 지방조직은 광학현미경 (200×; Olympus DP 73)으로 관찰되었다.
맹장을 적출한 후, 액제질소에 급속 동결시켜 -150℃에 보관하였다. Genomic DNA는 FastDNA Spin Kit (MP Biomedicals, USA)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16S rRNA 유전자의 V3-V4 영역을 증폭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은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 USA)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250 bp 이상의 DNA가 선별되었다. Illumina MiSeq (Illumina, USA) 장비를 사용하여 염기서열 정보를 확보하였으며, EzBioCloud software (Chunlab, Inc., Kore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결과는 GraphPad Prism (Version 6.0, GraphPad Software Inc., USA)을 이용하여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각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장내 미생물과 비만 관련 지표 사이의 상관관계는 Pears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 간의 유의성은
3T3-L1 전지방 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됨에 있어
전지방 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는 지방 축적에 의한 지방구 생성의 형태학적 변화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이 나타난다.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지방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
3T3-L1 지방세포에서 지질 축적을 감소시키는
장기간의 고지방식이는 비정상적인 지질대사를 하게 되며, 이는 이상지질혈증 및 지방간을 야기하게 된다[22]. 고지방식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혈액 내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및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증가는 대표적인 이상지질혈증이며, 혈중 GOT와 GTP는 간기능을 반영하는 지표로 알려져 있다[23]. 10주간의 고지방식이와
고지방식이를 통하여 비만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에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부고환지방의 증가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부고환 지방 형성 과정에 관여하는 지질대사 관련 주요 전사조절인자인
인체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 약 95% 미생물이 위장관 내에 서식하고 있으며, 숙주의 식생활에 영향을 받아 비만과 같은 대사질환은 장내 미생물 군집의 불균형을 일으키게 된다[24]. 따라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장내 미생물 군집의 불균형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항비만 효능이 가장 뛰어난 WIKIM51(10) 섭취군의 맹장(cecum) 내 미생물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군당 5마리의 마우스에서 총 805,627개의 염기서열이 얻어졌으며, 마우스 개체당 평균 53,708개의 염기서열을 얻었다(범위 26,497−99,802). 각 군의 alphadiversity는 OTUs와 ACE 지수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ND군, HFD군, 및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민들레 김치에서 분리된
비만은 지질대사 불균형으로 인한 이상지질혈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내 미생물의 군집 및 기능의 변화를 유도하여 장내 미생물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들레 김치에서 분리한 김치 유래 유산균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S2844004) funded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MSS, Korea).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Hyun Ju Kim, Min Sung Kwon, Hyelyeon Hwang, Ha-Sun Choi, WooJe Lee, Sang-Pil Choi, Haeun Jo, and Sung Wook Hong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3; 51(4): 353-373 https://doi.org/10.48022/mbl.2310.10011배인휴, 최성희, 최희영
Microbiol. Biotechnol. Lett. 2002; 30(4): 415-419 https://doi.org/10.4014/mbl.2002.30.4.415Chang-Ho Rhee and Heui-Dong Park
Microbiol. Biotechnol. Lett. 1999; 27(1): 15-22 https://doi.org/10.4014/mbl.1999.27.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