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mentation Microbiology (FM) | Fermentation Technology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4; 52(3): 298-303
https://doi.org/10.48022/mbl.2405.05002
Min Woo Moon and Chae Hun Ra*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Engineering, Global K-Food Research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17579,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Chae Hun Ra chra@hknu.ac.k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tential inhibitory effect of Undaria pinnatfida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UFM) on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n the 3T3-L1 cell line. Ethanol extracts from UFM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cell viability, Oil Red O staining, and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CR (RT-qPCR) in 3T3-L1 adipocytes. Treatment of preadipocytes with UFM at different concentrations (50, 100, and 200 μg/ml) found that it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by 66.80%, 61.59%, and 55.94%, respectively. Furthermore, RT-qPCR showed that UFM extract reduced the gene expressions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 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 γ), adipocyte-specific lipid binding protein (aP2),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TP citrate lyase (AC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UFM can be a beneficial functional ingredient to prevent obesity in the food industry.
Keywords: Obesity, adipogenesis, Undaria pinnatifida, fermentation, Leuconostoc mesenteroides
현대사회는 식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고칼로리 음식의 섭취 및 운동 부족으로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체내에 지방이 많을수록 고지혈증, 동맥경화 및 고혈압 등의 여러 심혈관질환과 당뇨와 같은 비만대사 관련 질환들을 유발한다.[1]. 지방세포(adipocytes)는 에너지 항상성 유지 및 지질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T3-L1 전지방세포(preadipocyte)는 분화배지에 의해 지방세포(adipocytes)로의 분화가 가능하고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호르몬 반응 및 지방대사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 등 다양한
미역(
유산균은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성하는 probiotics로서 소화 및 흡수에 도움을 주고, 장내부패 억제, 설사 및 변비의 개선, 장내 유해균의 억제 등 다양한 효능이 있으며[10], 최근 연구에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해조류 미역(
에탄올 추출물 제조는 3 g 발효추출물 파우더/80% 에탄올100 ml 혼탁액을 60℃에서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뒤, 추출용액은 필터 종이(8 μm; Whatman, UK)에 여과하였다. 감압 추출 농축장치(EYELA N-1000, Riakikai Co., Ltd., Japan)로 농축한 뒤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8) 30 ml에 용해시켜 시료를 준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3T3-L1은 한국세포주은행(KCLB, Republic of Korea)에서 분양받았다. 세포 배양 환경은 37℃, 5% CO2로 조절한 CO2 인큐베이터(BH-120CA/B; Neuronfit Co, Ltd., Republic of Korea)에서 배양하였다. 2일마다 10%Bovine Calf Serum (BCS, WELGENE)이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ELGENE) 배지로 교체해주고, 세포가 70−80% 밀도가 되었을 때 계대 배양하였다.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기 위해 12-well cell culture plate에 1×105 cells/well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가 confluent할 때까지 배양한 뒤, 10% fetal bovine serum (FBS, WELGENE), 1 μM Dexamethasone (DEX, Sigma-Aldrich Co., USA), 0.5 mM 3-isobutyl-1-methlyxanthine (IBMX, Sigma-Aldrich Co.), 10 μg/ml의 insulin (Sigma-Aldrich Co.)이 첨가된 MDI 배지로 배양하였다. 10% FBS, 10 μg/ml insulin를 2일 간격으로 배지에 첨가한 후 8일차까지 배양하였다. 추출물은 농도별로 MDI 배지로 교체할 때 같이 처리하였다.
세포 독성 평가는 Sim [13]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는 96-well plate에 녹여 1 × 104 cells/100 μl의 밀도로 분주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DMEM배지 90 μl에 25, 50, 100, 200 μg/ml의 농도로 희석한 유산균의 미역발효 추출물(UFM)을 각각 10 μl, 대조군 control은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8) 10 μl를첨가하여 100 μl로 맞춘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5 mg/ml의 MTT 용액 20 μl를 첨가하여 빛을 차단한 상태로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반응에 의해 생성된 formazan에DMSO 200 μl를 첨가하여 microplate reader (Multiskan FC, Thermo Fisher Scientific, USA)의 파장을 570 nm로설정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 식 (1)로 상대적인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Oil red O 염색은 Gu [14]를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3T3-L1 지방세포의 지방분화 및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위해 유산균의 미역발효 추출물(UFM)을 25, 50, 100, 200 μg/ml의 농도로 각 well에 처리한 다음 분화된 3T3-L1지방세포에 1X PBS(pH 7.4)로 세척하여 4% formalin으로1시간 고정시켰다. 60% isopropanol로 세척 후 Oil red O strained solution 400 μg/ml를 첨가하여 20분간 상온에서염색을 진행하였다. 증류수로 2회 세척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후 100% isopropyl alcohol로 염색된 지방을 추출하고 microplate reader (Multiskan FC, Thermo Fisher Scientific)로 492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 식(2)로 상대적인 지방 축적율을 계산하였다.
유산균의 미역발효 추출물(UFM)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의 mRNA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저해효과가 예상되는 유의적인 농도인 50, 100, 200 μg/ml로 처리하였다. 관심 유전자에 대한 primer의 염기서열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분화가 완료된 (Day 8) 3T3-L1 지방세포를 회수하여 Total RNA를 Accuprep® universal RNA kit (Bioneer,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한 Total RNA는 세포 내 유전자 발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Dyne One-step RT qPCR kit (Dyne Bio Inc.,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여 cDNA 합성 및RT-qPCR 실험을 수행하였다[15]. 각 샘플의 housekeeping gene은 GAPDH를 이용하였다. PCR cycling 조건은 42℃에서 30분간 역전사 후 95℃ 30초, 95℃ 5분간 denaturation, 55℃ 10분간 annealing, 72℃ 30분간 extension을 총 40회진행하였다. PCR을 수행한 후 유전자 발현은 각 gene들의Ct 값을 이용하여 delta-delta-Ct (Δ ΔCt)법으로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Table 1 . Primer sequences used for RT-qPCR.
Gene | Primer sequence | |
---|---|---|
Forward primer (5’ → 3’) | Reverse primer (5’ → 3’) | |
PPARγ | AGGCTTCCACTAGGAGTTC | CCAACAGCTTCTCCTTCTC |
C/EBPα | CAAGAACAGCAACGAGTACC | TTGACCAAGGAGCTCTCA |
aP2 | GGATTTGGTCACCATCCGGT | TTCACCTTCCTGTCGTCTGC |
ACL | AGGGTTTTGTGTCCACCTCTG | CCAGCCTATACCACATAAGCCC |
FAS | ACCTCCAGTCGTGTGAGTATG | CTAAAATGGGCATGGAGGGAC |
GAPDH | AACTTTGGCATTGTGGAAGG | ACACATTGGGGGTAGGAACA |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IBM SPSS (Ver. 23, IBM Corp.,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실험결과들은 일원배치 분산분석 중 Duncan’s t-test, Tukey’s HSD를 시행하여 유의적 차이를 비교하였다.통계적 유의성은
미역(
유산균의 미역발효 추출물(UFM)의 독성은 MTT assay 실험을 통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확인하였다. ISO 10993-5에 따르면[18], 세포 생존율이 80%이상인 경우 비세포독성으로 간주된다. 유산균의 미역발효추출물(UFM)을 대조군, 25, 50, 100, 200 μg/ml의 농도별로48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UFM은 가장 높은 농도인 200 μg/ml의 농도에서 86.9%의 생존률로 3T3-L1 지방전구세포에큰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Fig. 2). 이와 유사한 결과로 Oh [19]에서 미역, 다시마, 모자반, 톳 등의 에탄올 추출물을 50, 100, 200 μ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에서 유의적인 독성이 생기지 않았으며, 따라서 해조류의 추출물은 세포독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의 미역발효 추출물(UFM)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분화 시작과 함께 UFM을 50, 100, 200 μg/ml 농도별로 처리하여 분화를진행하였다. 8일간의 분화 유도 및 완료 시점에서 지방세포에 Oil Red O 염색을 진행하여 지방구의 형성 정도를 확인하였다(Fig. 3). 그 결과, 시료 처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에비해 UFM를 처리한 군에서는 25 μg/ml을 제외한 모든 농도에서 지방 축적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50, 100, 200 μg/ml의 UFM 농도에서 각각 66.80%, 61.59%, 55.94%로 지방구 형성이 저하됨을 확인하였고, 그 중 200 μg/ml 농도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Kim [20]의 연구에서 미역의 에탄올 추출물이 40%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와 비슷하였고, 다양한 해조류 (갈조류, 홍조류, 녹조류)에서 생성된 다당류(laminarin, fucoidan)와 페놀 화합물(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들이 항비만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21, 22]. 또한, Paray [23] 연구에서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다양한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들의 작용과 조절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따라서 유산균의 미역발효 추출물(UFM)이 3T3-L1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지방 형성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전사 조절 인자 중 PPARγ, C/EBPα, AP2, FAS, ACL의 상대적인 mRNA 발현 수준을확인하였다. Fig.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UFM 처리군에서 PPARγ, C/EBPα, AP2, FAS, ACL의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산균의 미역발효 추출물(UFM) 처리에 의해 지방세포분화의 발현이 저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PPARγ는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키며, PPARγ의 발현량 감소는 지방세포의 감소를 의미한다[24−26]. 또한PPARγ와 C/EBPα의 협력적인 상호작용은 지방형성 및 지방세포 특이적인 형질의 생성과 유지에 필요한 adipocyte-specific fatty acid binding protein (aP2), fatty Acid Synthase (FAS)와 ATP citrate lyase (ACL)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며, 이들의 협력적인 상호작용은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산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7−30].
유산균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T)(No.2022R1F1A1074594).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Kahina Gribi, Mohammed Sebaihia, Mohammed El Amine Bekara, Abla Djebbar , Manel Zeraoulia, and Nihel Klouche-Khelil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4; 52(4): 448-461 https://doi.org/10.48022/mbl.2401.01015Taehyun Kim, Jin-Woo Kim, Huitae Min, Jisu Park, Taejung Kim, Geun-Hyeong Kim, Byung-Joon Park, Jeong Kook Kim, Young-Tae Park, Jin-Chul Kim, and Jungyeob Ham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3; 51(3): 250-256 https://doi.org/10.48022/mbl.2303.03012Ji Yeon Yoo, Dong Sin Kim, Tae Jin Kim, Yun Ji Kang, Min Jae Kim, and Jeong Hwan Kim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3; 51(2): 147-156 https://doi.org/10.48022/mbl.2303.0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