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lecular and Cellular Microbiology | Microbial Genetics, Physiology and Metabolism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4; 52(4): 479-486
https://doi.org/10.48022/mbl.2410.10001
Miyoung Lee*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Daeje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35408,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Lee Miyoung, hope-00@daum.net
We analyzed the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of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E) isolated from a South Korean hospital between July 2019 and July 2021. A total of 44 CPE strains were isolated from various clinical samples and tested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he presence of β-lactamase genes, Tn4401 transposon variants, multi locus sequence typing, and conjugation ability. All strains showed multidrug resistance, with two strains (4.5%) displaying colistin resistance. Diverse carbapenemase genes were identified in the strains, with 68.2% carrying the gene for KPC-2 and 20.5% carrying the gene for NDM-5. Additionally, 6.82% of the strains carried genes encoding both KPC-2 and NDM-5, while 4.55% carried genes encoding both NDM-5 and OXA-181. High-pathogenicity clones of Klebsiella pneumoniae ST307 (56.3%) and Escherichia coli ST410 (54.5%) were also identified. The plasmid-mediated resistance transfer rate was high (77.3%). Additionally, 84.1% of examined strains contained the Tn4401 transposon, which facilitates the rapid spread and evolution of CP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urgent need for national control strategies to curb the spread of highly pathogenic drug-resistant clon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trolling CPE to prevent further increase in bacteria-associated morbidity and mortality in South Korea.
Keywords: Multi drug-resistant (MDR), Tn4401, Escherichia coli ST410, Klebsiella pneumoniae ST307,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항생제 내성은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공중보건 문제이다. 특히, 카바페넴 내성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본 연구는 2019년 7월부터 2021년 7월까지 2년간 한국의 한 종합병원에서 분리된 CPE의 분자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여, 항균제 내성경향과 분자유전적 특성 분석을 통한 유행경향을 파악, 다제내성 CPE의 유병률과 확산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7월부터 2021년 7월까지 부산의 한 종합병원에서 CRE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양한 임상시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93개의 CRE 균주를 분리하고 이중 44개의 CPE 균주를 식별하였다. 본 연구는 헬싱키선언서에 명시된 윤리적기준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대전과학기술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승인번호 1044342-20240620-HR-004-04)의 승인을 받았다.
임상검체로부터 분리 배양된 93개의 CRE 균주는VITEK-2 (BioMérieux, France)에 의해 균종을 확인하였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모든 균종의 동정을 재확인하였다[8].
항균제 감수성 시험은 VITEK-2 시스템(bioMérieux)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ampicillin, aztreonam, cefotaxime, ceftazidime, cefoxitin, ciprofloxacin, amikacin, gentamicin, imipenem, meropenem, ertapenem, colistin에 대한 항균제감수성 검사는 Mueller-Hinton 한천(Becton Dickinson, USA)에서 디스크 확산시험을 통해 CLSI 가이드라인에 따라 평가하였다[9]. Colistin(BD Biosciences, USA)의 최소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액체 배지 미량 희석법(broth microdilution method)으로, tigecycline에 대한 감수성은 E-테스트(bioMérieux)로 평가하였다[9]. 정도관리를 위해서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Verity 96-Well; Applied Biosystems, Singapore)을 통해CPE 균주의 저항성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Carbapenemase (KPC, NDM, OXA-48-like, IMP, VIM, GES)와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ESBL)의 검출을 위해 CTX M-, TEM-, SHV형을 사용하였다[10, 11]. plasmid-mediated AmpCs (
CPE의 형별 분류를 위해
저항성 Plasmid의 전이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CPE 44 균주를 공여체로, sodium azide-내성
CRE 93균주중 CPE로 확인된 44균주(47.3%) 감염환자의평균 연령은 76.5세(28−94세)였으며, 남성이 26명(59.1%),여성은 18명(40.9%)이었다(Fig. 1A). 분리된 균종은
CPE 44균주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결과는 ampicillin, amoxicillin/clavulanate, piperacillin-tazobactam, cefazolin, cefoxitin, cefotaxime, ceftazidime, cefepime, aztreonam, ertapenem, imipenem에 44균주(100%) 모두 내성을 보였으며,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30균주(30/44, 68.2%), tigecycline에 16균주(16/44, 36.4%), aminoglycoside계인gentamicin에 21균주(21/44, 47.7%), amikacin에 3균주(3/ 44, 6.8%)가 내성을 보였다. 또한, Polypeptide 계인 colistin에 대해서도 2균주(2/44, 4.5%)가 내성을 보였다. 접합이 된균주와의 디스크 확산법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44균주 모두 3가지 계열의 항생제에 대하여 비감수성을보이는 경우인 multidrug-resistant(MDR) 표현형의 균주였다[23] (Table 1).
Table 1 .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44 CPE isolates and phenotypes.
Isolate I.D (%) | Susceptible antibiotics | Porin Loss (%) | Conjugation | ||||||||||
---|---|---|---|---|---|---|---|---|---|---|---|---|---|
N (%) of isolates | |||||||||||||
FOX | FEP | ETP | IMP | AK | GN | CIP | SXT | TIG | CST | OmpK35 | OmpK36 | ||
CPE strains (N=44) | 0 | 0 | 0 | 0 | 41(93.2) | 23(52.3) | 9(20.5) | 14(31.8) | 28(63.6) | 42(95.5) | 20(45.5) | 21(47.7) | 34(77.3) |
KPC-2 (N=30) | 0 | 0 | 0 | 0 | 28(93.3) | 19(63.3) | 9(30) | 12(40) | 22(73.3) | 30(100) | 13(43.3) | 17(56.6) | 24(80) |
ΔTn | 0 | 0 | 0 | 0 | 14(87.5) | 11(68.8) | 5(31.3) | 6(37.5) | 12(75) | 14(87.5) | 8(50) | 9(56.3) | 13(81.3) |
ΔTn | 0 | 0 | 0 | 0 | 9(100) | 7(77.8) | 3(33.3) | 5(55.6) | 8(88.9) | 9(100) | 3(33.3) | 6(66.7) | 7(77.8) |
NDM-5 (N=9) | 0 | 0 | 0 | 0 | 8(88.9) | 2(22.2) | 0 | 1(11.1) | 4(44.4) | 8(88.9) | 4(44.4) | 2(22.2) | 5(55.6) |
KPC-2, NDM-5 (N=3) | 0 | 0 | 0 | 0 | 3(100) | 1(33.3) | 0 | 1(33.3) | 1(33.3) | 2(66.6) | 2(66.6) | 2(66.6) | 3(100) |
ΔTn | 0 | 0 | 0 | 0 | 3(100) | 1(33.3) | 0 | 1(33.3) | 1(33.3) | 2(66.6) | 2(66.6) | 2(66.6) | 3(100) |
NDM-5, OXA-181 (N=2) | 0 | 0 | 0 | 0 | 2(100) | 1(50) | 0 | 0 | 1(50) | 2(100) | 1(50) | 0 | 2(100) |
Total (N=37) | 0 | 0 | 0 | 0 | 35(94.6) | 22(59.5) | 8(21.6) | 12(32.4) | 25(67.6) | 33(89.2) | 18(48.6) | 19(51.4) | 29(78.4) |
Transconjugants strains (N=34) | 0 | 0 | 0 | 0 | 34(100) | 17(50) | 7(20.6) | 11(32.4) | 22(64.7) | 33(97.1) |
Abbreviations: CPE, carbapenemase-producing
외막의 구멍 단백질 유전자인 OmpK35와 OmpK36의 돌연변이를 조사한 결과 CPE 31균주(70.5%)에서 돌연변이를관찰하였다. OmpK35 (20/44, 45.5%), OmpK36 (21/44, 47.7%)의 돌연변이는 비슷한 비율로 관찰되었으며, 두가지외막 단백질 모두의 돌연변이를 보인 균주도 10균주(22.7%)가 확인되었다(Table 1). 44개의 CPE 균주 중 30균주는 KPC-2 생성 균주(30/44, 68.2%)로 가장 높은 비율로 확인되었으며, NDM-5 생성 9균주(9/44, 20.5%), 2종 이상의 카바페넴 분해효소를 동시에 갖는 유형으로 KPC-2와 NDM-5균주(3/44, 6.82%), NDM-5와 OXA-181균주(2/44, 4.55%)가 확인되었다(Table 2). 실험 균주들은 ESBL의 높은 내성인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SHV (21/44, 47.7%), CTX-M-1 (19/44, 43.2%), CTX-M-9 (6/44, 13.6%), CTX-M-14 (4/44, 9.1%), CTX-M-15 (13/44, 29.5%), TEM-1 (12/44, 27.3%) 및 TEM-171 (9/44, 20.5%)이 관찰되었으며 7균주를 제외한 37균주(37/44, 84.1%)가 ESBL 내성인자를 가지고 있었다. 44개의CPE 균주에 대한 fluoroquinolone 저항성 결정 인자를 분석한 결과, 27개의 균주 67.5%가 fluoroquinolone 내성 인자를가지고 있었다. 27개의 fluoroquinolone 내성 균주는
Table 2 . Identification of resistance determinants among 44 CPE isolates by PCR.
Antibiotic class/Resistance gene | CPE strains N=44 (%) | Transconjugants strains N=34 (%) |
Carbapenems | ||
KPC-2 | 30(68.2) | 23(67.6) |
NDM-5 | 9(20.5) | 5(14.7) |
KPC-2/NDM-5 | 3(6.8) | 3(8.8) |
NDM-5/ OXA-181 | 2(4.6) | 2(5.9) |
Cephalosporins | ||
SHV | 21(47.7) | 17(50) |
TEM1 | 12(27.3) | 9(26.5) |
TEM171 | 9(20.5) | 8(23.5) |
CTX-M-1 | 19(43.2) | 16(47.1) |
CTX-M-9 | 6(13.6) | 6(17.6) |
CTX-M-14 | 4(9.1) | 4(11.8) |
CTX-M-15 | 13(29.5) | 11(32.4) |
AmpC | ||
2(4.6) | 1(2.9) | |
2(4.6) | 1(2.9) | |
Aminoglycoside | ||
1(2.3) | 1(2.9) | |
13(29.5) | 11(32.4) | |
2(4.6) | 2(5.9) | |
6(13.6) | 4(11.8) | |
3(6.8) | 3(8.8) | |
Fluoroquinolone | ||
8(20) | 5(14.7) | |
17(42.5) | 15(44.1) | |
8(20) | 6(17.6) | |
6(15) | 4(11.7) |
Abbreviations: CPE, carbapenemase-producing
44개의 CPE 균주 중에서
Table 3 . CPE mobile elements carried by CPE producers.
Subtype Bracketed by KPC | Strains | Total | ||||||||||||
---|---|---|---|---|---|---|---|---|---|---|---|---|---|---|
ST† (N‡) | 307 | 11 | 429 | 2521 | 3660 | 410 | 52 | 3520 | 617 | 457 | 117 | 18 | ||
3 | 1 | 1 | 5 | |||||||||||
8 | 1 | 1 | 2 | 1 | 1 | 1 | 1 | 16 | ||||||
2 | 3 | 1 | 1 | 1 | 1 | 9 | ||||||||
1 | 1 | 2 | ||||||||||||
2 | 1 | 3 | ||||||||||||
2 | 2 |
† ST: MLST Sequence Type, ‡ Shows the number of strains and their corresponding MLST sequence types.
Table 4 . The β-lactam genes and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44 CPE strains.
Strain | Species | Carbapenems | Cephalosporins | AmpC | 16S rRNA methylase | Quinolone | ST | Porin Loss | Tn | Conjugants |
---|---|---|---|---|---|---|---|---|---|---|
K2401 | KPC-2 | CTX-M-1, CTX-M-15 | 307 | OMPK36 | + | |||||
K2402 | KPC-2 | CTX-M-1, CTX-M-15 | 307 | OMPK36 | + | |||||
K2403 | KPC-2 | TEM1, CTX-M-9, CTX-M-14 | 307 | OMPK35, OMPK36 | + | |||||
K2404 | KPC-2 | TEM1, TEM171, CTX-M-15, SHV | 11 | OMPK35, OMPK36 | ||||||
K2405 | NDM-5 | TEM1 | 11 | OMPK36 | ||||||
K2406 | KPC-2 | TEM171, CTX-M-15, SHV | 18 | + | ||||||
K2407 | KPC-2 | TEM1, TEM171, CTX-M-15, SHV | 11 | OMPK35, OMPK36 | + | |||||
K2408 | KPC-2 | TEM1, TEM171, CTX-M-15, SHV | 11 | OMPK36 | + | |||||
K2409 | KPC-2, NDM-5 | TEM171, CTX-M-15, SHV | 307 | OMPK36 | + | |||||
K2410 | KPC-2, NDM-5 | TEM1, CTX-M-1, CTX-M-9, CTX-M-14, SHV | 307 | OMPK35, OMPK36 | + | |||||
K2411 | KPC-2 | TEM1, TEM171, CTX-M-1, CTX-M-15, SHV | 307 | OMPK36 | + | |||||
K2412 | KPC-2 | TEM1, CTX-M-1, CTX-M-9, CTX-M-15 | 307 | OMPK36 | + | |||||
K2413 | KPC-2 | CTX-M-1, CTX-M-15 | 410 | OMPK36 | ||||||
K2414 | KPC-2 | CTX-M-1, CTX-M-15 | 307 | OMPK36 | + | |||||
K2415 | NDM-5 | TEM1, CTX-M-9, CTX-M-14 | 410 | + | ||||||
K2416 | KPC-2 | TEM-1, TEM-171, CTX-M-15, SHV | 11 | OMPK35, OMPK36 | + | |||||
K2417 | KPC-2 | 2521 | ||||||||
K2418 | NDM-5 | TEM-1, TEM-171, CTX-M-1 | 11 | + | ||||||
K2419 | KPC-2 | TEM-171, CTX-M-15 | 617 | OMPK36 | + | |||||
K2420 | NDM-5 | CTX-M-1, SHV | 3520 | + | ||||||
K2421 | NDM-5 | CTX-M-1, CTX-M-14, SHV | 307 | OMPK35, OMPK36 | + | |||||
K2422 | KPC-2 | SHV | 307 | OMPK36 | + | |||||
K2423 | KPC-2 | SHV | 307 | OMPK35 | + | |||||
K2424 | KPC-2 | SHV | 307 | OMPK35, OMPK36 | + | |||||
K2425 | KPC-2 | 307 | OMPK35, OMPK36 | |||||||
K2426 | KPC-2 | SHV, CTX-M-1 | 457 | OMPK35 | + | |||||
K2427 | KPC-2, NDM-5 | SHV, CTX-M-1 | 11 | OMPK35 | + | |||||
K2428 | KPC-2 | SHV | 3660 | |||||||
K2429 | KPC-2 | SHV | 3660 | + | ||||||
K2430 | NDM-5 | SHV | 410 | + | ||||||
K2431 | NDM-5, OXA181 | SHV, CTX-M-1 | 410 | + | ||||||
K2432 | NDM-5, OXA181 | CTX-M-1, CTX-M-9 | 410 | OMPK35 | + | |||||
K2433 | NDM-5 | 307 | OMPK35 | |||||||
K2434 | NDM-5 | SHV, CTX-M-1 | 307 | OMPK35 | ||||||
K2435 | KPC-2 | 3660 | + | |||||||
K2436 | KPC-2 | 3660 | + | |||||||
K2437 | KPC-2 | CTX-M-1 | 429 | OMPK35, OMPK36 | + | |||||
K2438 | KPC-2 | TEM-1 | 52 | |||||||
K2439 | KPC-2 | CTX-M-1 | 307 | OMPK35 | + | |||||
K2440 | NDM-5 | CTX-M-1 | 410 | OMPK35 | ||||||
K2441 | KPC-2 | SHV, CTX-M-9 | 429 | OMPK35, OMPK36 | + | |||||
K2442 | KPC-2 | CTX-M-1 | 117 | + | ||||||
K2443 | KPC-2 | 307 | OMPK35 | + | ||||||
K2444 | KPC-2 | 307 | OMPK35 | + |
Abbreviations: KPN,
44개의 CPE 균주로 MLST를 시행한 결과, 총 12개의sequence types (STs)를 확인하였다(Table 3).
항생제의 부적절한 처방과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은 국제사회의 보건과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CRE의 출현은 장내세균 항생제 치료의 최후보루로 알려진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임에 따라 이환율과 사망률을 크게 증가시키면서 공중보건을 위협하는문제가 되었다[24].
본 연구는 부산의 한 종합병원에서 분리된 CPE 균주의 항균제 내성 분포를 분석하며, 주요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CPE 44균주에 대해 17종의 항생제를 평가한 결과, colistin 감수성이 가장 높았으나, 내성 균주가 2균주(4.5%)확인되었으며, 모든 균주에서 MDR 표현형이 나타났다. 이는 모든 균주가 다양한 β-lactam 분해 유전자를 보유한 데기인한다. 특히 외막 단백질 OmpK35의 결실은 β-lactam의지속적인 유입을 촉진해 높은 내성을 유발하며, OmpK36의결실은 낮은 carbapenem MIC와 관련이 있다[15, 25]. 한편,국내 항균제 내성균의 증가 원인으로는 항생제의 부적절한 처방과 오남용이 지적되며, 2020년 OECD 통계에 따르면 국내 감염 치료에 사용된 항생제 사용량은 회원국 중 네 번째로 높았다[26].
1996년 미국에서 KPC-생성
KPC-2 생성
앞선 연구에 의하면,
본 연구 결과 국내에서의 CPE 유행경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카바페넴 유전자와 Transposon을 통한 균종간의 이동, 고위험 클론은 병원내 환경에서 잠재적 위험요인을 내포하고 있다. 향후 고위험 클론의 항생제 내성균에의한 국가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전학적 연관성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CPE의 수평 전달 용이성과 고위험 클론의 지속성은 공중보건에 대한 중대한 역학적 함의를 가지고 있으나, 고위험 클론에 대한 내성기전을 밝히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검체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카바페넴 분해효소생성 장내세균(Carbapenemase-producing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Daeje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