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Microbiology (EM) | Microbial Ecology and Diversity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4; 52(4): 372-382
https://doi.org/10.48022/mbl.2408.08015
Ji Won Lee, So-Yeon Jeong*, and Tae Gwan Kim*
Department of Micro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So-Yeon Jeong, jeongsy69@gmail.com
Tae Gwan Kim, tkim@pusan.ac.kr
Clay flocculation combined with biocontrol agents can effectively and stably control harmful algal blooms (HAB) by aggregating and suppressing them. In this study, we developed various montmorillonite-cation-microbe (MCM) complexes and evaluated their effects on the activity, growth, and precipitation of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Chlorella vulgaris and Microcystis aeruginosa). Tumebacillus sp. FS08 and Bacillus cereus were selected as biocontrol agents against HAB after testing the anti-HAB efficacy of various bacteria on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Calcium ion (Ca2+) and manganese ion (Mn2+) were used as bridging cations for montmorillonite (MMT) and biocontrol microbes. Four MCM complexes were developed: MMT-Ca-Bacillus (MCM-CB), MMT-Mn-Bacillus (MCM-MB), MMT-Ca-Tumebacillus (MCM-CT), and MMT-Mn-Tumebacillus (MCM-MT). The recoverable population remained stable over six weeks in MCM-CB, MCM-CT, and MCM-MT, but not in MCM-MB. All MCMs inhibited both the photosynthetic activity and growth of Chlorella during vigorous agitation (p < 0.05). They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cystis under agitation (p < 0.05), but did not inhibit its photosynthetic activity except for MCM-CB. Additionally, all MCMs effectively precipitated the Chlorella and Microcystis cells and inhibited their photosynthetic activity within the resulting precipitates (p < 0.05). Our results indicate that MCMs can simultaneously precipitate HAB cells and inhibit their growth and activity. Thus, this MCM technology can be a promising option for HAB controls.
Keywords: Harmful algal bloom (HAB), biocontrol of HAB, montmorillonite, cation
태양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하여 유기물을 생성하는광합성 미생물은 수생태계에서 주요한 1차 생산자(primary producer)이다[1]. 과도한 영양염류(질소, 인)의 유입, 느린유속, 수온 및 일사량 증가는 광합성 미생물이 대량 증식하는 harmful algal bloom (HAB) 현상을 야기하며[1],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인간활동 등이 증가함에 따라 HAB의 발생빈도와 정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2, 3]. HAB는 수계의 산소 소모, 독소 생산 등을 통해 수질을 오염시키고 담수 및 해양 환경의 수생태계 불균형을 초래한다[4]. 또한, 환경적, 심미적 관점 등에서 인간에게 직·간접적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HAB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환경적, 공중 보건적,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4, 5].
HAB를 제거하기 위해 미생물을 응집하고 침전시키는 화학적 응집제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6, 7]. 다양한 응집제 중clay mineral은 천연물질로써 환경에 무해하고 상대적으로낮은 비용과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을 가진다[8]. 다양한 국가(한국, 일본, 중국, 미국 등)에서 HAB 제어를 위해 clay mineral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HAB 미생물을 제거한 결과가 보고되었다[6]. Clay mineral이 HAB 미생물의 응집과침전에 미치는 효율은 이들의 종류, 입자 사이즈 및 형태에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산처리, 이온 치환 등)에 의한 clay 표면 개질(modification)을 통해 HAB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7, 9, 10]. Clay mineral 종류에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MMT), 벤토나이트(bentonite),카올리나이트(kaolinite), 일라이트(illite)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다른 화학적 구성과 구조를 가지고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에 차이를 나타낸다[11]. 그 중에서 MMT는 높은 양이온 교환성과 흡착력, 팽윤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미생물고정화 담체(carrier)로써 미생물의 생존과 활성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12, 13].
HAB 제어를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써 수생태계에서 높은 풍부도와 다양성을 가진 세균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광합성 미생물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한다[14, 15]. 일부 세균은 살조 물질(algicidal metabolites)을생성하거나 직접적인 물리적 공격을 통해 광합성 미생물의성장을 억제한다[15, 16].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살조 활성(algicidal activity)을 나타내는 세균으로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인 다양한 HAB 제어 방법들을결합하면 HAB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Clay와 생물학적제제의 결합을 통해 HAB 제어 기술을 개발한다면 친환경적이며 기술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킬수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MMT와 생물학적제제로써 광합성 활성 및 성장을 억제하는 세균,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양이온을 사용해서 montmorillonite-cation-microbes (MCM) 복합체를 개발하였다. 두 종류의 세균(
본 연구에서는 광합성 미생물 2종(
Table 1 . Microbial isolates used in this study.
No. | Isolates | Phylum | Class | Culture collection |
---|---|---|---|---|
1 | Chlorophyta | Trebouxiophyceae | FBCC 180003 | |
2 | Cyanobacteria | Cyanophyceae | FBCC-A59 | |
3 | Actinomycetota | Actinomycetia | KCTC 49587 | |
4 | Bacillota | Bacilli | FBCC-B50 | |
5 | Bacillota | Bacilli | FBCC-B807 | |
6 | Bacillota | Bacilli | FBCC-B4056 | |
7 | Pseudomonadota | Betaproteobacteria | KCTC 82584 | |
8 | Bacillota | Bacilli | KCTC 43355 | |
9 | Bacillota | Bacilli | FBCC-B367 | |
10 | Actinomycetota | Actinomycetia | KCTC 49590 | |
11 | Bacteroidota | Sphingobacteriia | KCTC 82589 | |
12 | Actinomycetota | Actinomycetia | KCTC 49594 | |
13 | Pseudomonadota | Betaproteobacteria | KCTC 82583 | |
14 | Bacteroidota | Sphingobacteriia | KCTC 82590 | |
15 | Pseudomonadota | Alphaproteobacteria | KCTC 32429 | |
16 | Bacillota | Bacilli | KCTC 43304 |
E Eukarya; B Bacteria; and P photosynthetic.
FBCC, Freshwater Bioresources Culture Collection, Korea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orea
광합성 미생물의 배양은 BG11 배지(MB cell, KisanBio Co., Ltd., Republic of Korea)를 사용했으며 530 ml의 혈청병(serum bottle)에 100 ml의 배지와 1 ml의 배양액을 분주한 후 혈청병 입구를 고무마개로 밀봉하고 CO2 가스를 최종농도 5%가 되도록 주입하였다. 광합성 미생물은 조도 3,000 lux (24L:0D), 온도 25℃, 200 rpm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균은 실험 전까지 1 g·l-1의 R2A 고체배지(MB cell)에서 순수 콜로니 상태로 유지하였다. 세균 배양액을 획득하기 위해콜로니를 R2A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30℃, 200 rpm에서 균에 따라 24시간에서 최대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든 실험에 사용한 균 배양액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준비하였다.
광합성 미생물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세균의 영향은 광독립영양 조건에서 CO2 농도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광합성 미생물과 세균 배양액은 상기의 방법으로 준비한 후 각각 680 nm와 600 nm 파장에서 UV-1800 spectrophotometer (Shimadzu Corp., Kyoto, Japan)를 이용해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최종 OD 값이 0.4가 되도록 BG11 배지로 희석하였다. 광합성 미생물과 세균 배양액을 각 10 ml씩 1:1 비율로 혼합하여 110 ml 혈청병에 총 20 ml을 분주한 후 병 입구를 고무마개로 밀봉하고, CO2 가스를 5% 농도로 주입하였다. 배양액은 광합성 미생물의 배양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2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혈청병 내 CO2 농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세균 배양액 대신 동일 부피로 BG11 배지를 채워주었다.
광합성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세균의 영향은 종속영양조건에서 세포 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위와 동일하게 준비한 광합성 미생물과 세균 배양액을 혼합하여 14 ml test tube에 1 ml을 분주하고 R2A 액체배지 9 ml을 채워준 후, 30℃, 200 rpm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emocytometer (Paul Marienfeld GmbH & Co. KG, Germany)를 이용해서광학 현미경(Axio observer 3, Carl Zeiss Co., Ltd., Germany)을 통해 광합성 미생물의 세포를 직접 계수하였다.
MMT (Kanben Mining Co., Ltd., Japan)는 울산시 소재한국아쿠아서비스에서 제공 받았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20.8 ± 0.2 µm, pH는 9.5 ± 0.2, 수분 함량은 6.7 ± 0.1%, 전기전도도(EC)는 10.3 ± 0.0 dS·m-1로 측정되었다. MMT는121℃에서 20분 동안 멸균 후 상온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광합성 미생물의 활성에 미치는 MMT의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110 ml 혈청병에 배양액 20 ml을 분주한 후 농도별(1, 2 g·l-1)로 MMT를 넣어주었다. 혈청병 입구를 고무마개로 밀봉한 후 CO2 가스를 최종 농도 5%가 되도록 주입하였다. 배양액은 광합성 미생물의 배양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2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혈청병 내 CO2 농도를 측정하였다.
광합성 미생물의 침전에 미치는 MMT의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시험관(높이 18 cm, 용량 30 ml)에 배양액 15 ml을 분주한 후 농도별(1, 2 g·l-1)로 MMT를 넣어주었다. 시험관 입구를 고무마개로 밀봉한 후 CO2 가스를 최종 농도 5%가 되도록 주입하였다. 배양액은 조도 3,000 lux (24L:0D), 25℃, 50 rpm 조건에서 13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시험관 내 CO2 농도를 측정하였다.
Montmorillonite-cation-microbe (MCM)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MMT, 양이온(칼슘, 망간), 균액(
광합성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MCM의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CO2 농도는 열전도성 검출기(thermal conductivity detector)와 Rt-Q-BOND (30 m × 0.53 mm × 20 µm, Restek, USA) 컬럼이 장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2010 plus, Shimadzu Corp.,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조건은 오븐, 시료 주입부, 검출기 온도를 각각 50℃, 100℃, 150℃로 설정하였으며, 이동상 가스로 헬륨(유량 3 ml·min-1, 25 kPa 압력)을 사용하였다. 유리주사기(gas-tight syringe)를 이용하여 혈청병 상부 가스를 0.3 ml 채취하여 초기 CO2 주입 농도와 혈청병 내 잔류 농도를 측정하였다. CO2 동화(assimilation)는 (Ct=0−Ct)/△t(C는 혈청병 내 상부 CO2 mole 수)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든 실험은 2반복으로 수행하였다.
광합성 미생물
광합성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세균의 영향을 종속영양조건에서 분석하였다(Fig. 2).
MMT가 광합성 미생물의 활성 및 침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Fig. 3). MMT는 강한 교반 조건(200 rpm)에서농도에 상관없이
MCM 복합체에서 미생물 보존성을 평가하기 위해 MCM 제조 후 6주 동안 MCM으로부터 집락수를 관찰하였다(Fig. 4).
MCM 복합체가 광합성 미생물의 활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강한 교반 조건(200 rpm)에서 분석하였다(Fig. 5). 모든 MCM은
모든 MCM은
MCM 복합체가 광합성 미생물의 침전에 미치는 영향 및침전물에서의 광합성 활성을 분석하였다(Fig. 6). 약한 교반 조건(50 rpm)에서
본 연구에서는 clay mineral과 광합성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세균, 이들을 연결하는 양이온을 사용해서 montmorillonite-cation-microbes (MCM)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미생물의 응집과 침전을 가능하게 하는 clay mineral은 미생물의 생존과 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서식처가 될 수 있다[12]. 그러므로 clay mineral 기반 복합체는 생물학적제제의 저장 수명을 증가시켜 이의 보관 및 관리에 효과적이다. 또한, 복합체는 harmful algal bloom (HAB) 환경에서 장기간 활성을 유지하여 생물학적제제의 단독 사용에비해 효율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MCM 복합체가 광합성 미생물의 활성, 성장, 침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HAB 제어를 위한 MCM의 효율성과 안정성을제시하고자 하였다. MCM 제조에 사용할 균을 선택하기 위해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합성 활성을 억제하는 세균(10종), spore를 형성하며 살조 활성이 보고된
Montmorillonite (MMT)는 강한 교반 조건(200 rpm)에서광합성 미생물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MMT와 세균, 양이온을 사용해서 네 종류의 MCM 복합체(MCM-CB, MCM-MB, MCM-CT, MCM-MT)를 제조하였다. MCM 복합체에서 미생물의 보존성을 평가하기 위해 희석 평판배양법을 통해 집락수를 계산하였다(Fig. 4).
강한 교반 조건(200 rpm)에서 모든 MCM은
광합성 미생물을 응집하는 clay와 이들의 활성과 성장을억제하는 세균의 결합은 harmful algal blooms (HAB)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B제어를 위해 clay mineral인 montmorillonite (MMT)와 세균, 이들을 연결하는 양이온을 사용해서 montmorillonite-cation-microbes (MCM) 복합체를 제조하고, MCM이 광합성미생물(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2-Year Research Gra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Hae-Young Jeong , Sung-Ho Yoon , Hong-Kum Lee , Tae-Kwang Oh and Ji-Hyun Kim
Microbiol. Biotechnol. Lett. 2006; 34(1): 1-6 https://doi.org/10.4014/mbl.2006.3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