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Microbiology (EM) | Microbial Ecology and Diversity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2; 50(2): 165-192
https://doi.org/10.48022/mbl.2112.12005
Sookyung Kang and Kyung-Suk C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Kyung Suk Cho, kscho@ewha.ac.kr
The microbial metagenome characteristics of bioaerosols and particulate matter (PM) in the outdoor atmospheric environment and the effects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metagenome were analyzed. The concentrations of bacteria and fungi in bioaerosols and PM were determined by sampling different regions with different environmental properties. A variety of culture-independent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microbial metagenome in aerosols and PM sampl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iversity and metagenomes of bacteria and fungi were investigated. The survival, growth, and dispersal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atmosphere were markedly affected by local weather conditions and the air pollutant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microorganism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but their concentration decreased in summer, due to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s and strong ultraviolet rays. Humidity and microbial concentr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but when the humidity was too high, the dispersion of airborne microorganisms was inhibited. These comprehensive data on the microbial metagenome in bioaerosols and PM may be used to understand the roles and functions of microorganisms in the atmosphere, and to develop strategies and abatement techniques to address the environmental and public health problems caused by these microorganisms.
Keywords: Airborne microorganism, particulate matter, metagenome, culture-independent methodology
대기 미생물(Airborne microorganisms, AM)은 공기 중어디에나 존재하며 대부분 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 PM)에 부착된 형태로 존재한다. 최근 들어 PM에 의한 대기질 저하 및 이로 인한 건강 위협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PM과 더불어 PM에 부착되어 있는 AM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1-4]. PM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부분인 AM은 인간의 건강, 대기 화학, 핵 생성(nucleation) 및 생태계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해양, 대기 및 육상 환경 사이에서 생지화학적 순환을 하고 있다[5]. 그러므로 AM에 대한이해는 과학적, 위생학적 및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하고, 이에 따라 AM 개개의 특성, 군집 다양성, 군집 내에서의 종류별 우점도 및 미생물의 시간적, 공간적 변동성 등에 대한 연구들이 근래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4]. 과거에는 대기에서 채취한 전체 시료를 대상으로 미생물 군집 구조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런데 PM의 입자 크기별로 인체에 미치는위해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PM의 입자 크기에따른 미생물 군집 구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1-4, 6].
바이오에어로졸 혹은 PM 시료의 미생물 분석을 위해 배양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부터 비배양 방법인 분자생물학적기술을 이용하여,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고세균 등과 같은미생물의 종류와 농도, 크기 분포 및 다양성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1-4]. 또한, AM 농도 및 종 다양성에 미치는기후적 인자와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3, 4].
본 논문에서는 실외 대기 환경의 바이오에어로졸 혹은 PM시료의 세균과 곰팡이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또한 이들 시료를 비배양 의존 방법으로 AM의 군집 특성을 조사한 선행 연구결과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AM의 메타게놈분석 방법 및 메타게놈 특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AM 군집구조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인자인 기후적 요인과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고찰 결과는 대기권에서 미생물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이들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는 환경 및 공중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 수립 및 저감 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있다.
미생물은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는 관찰 할 수 없는 생물로,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미세조류 및 원생동물로 구분된다. 이 중 대기 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인 AM은 주로 세균, 곰팡이 및 바이러스이다[7]. 물 환경이나 토양 환경과는 달리대기 환경은 높은 일사량, 낮은 수분과 영양소, 큰 분산 능력으로 미생물 생존에는 가혹한 조건이지만, 미생물은 대기환경에 적응하도록 진화되어 왔고, 현재 공기 중에 많은 양의 미생물이 존재하고 있다[8]. 기후적 특성과 대기오염 정도에 따라 AM의 조성은 매우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세균이 약 80% 정도로 가장 많고, 그 다음 곰팡이가 많은 경향이 있다[3].
AM의 주요 발생원과 대기 중 외부 인자의 상호작용을 Fig. 1에 도시하였다[1, 2]. 미생물은 육상, 토양, 산림, 사막 먼지,농업 활동, 도시 지역, 습지, 해안 및 해양 환경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9, 10]. 또한, 폐수처리장, 매립지, 퇴비화 설비, 축산단지 등에서도 미생물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11].입자 재부유 과정 이론에 기초하여 지상의 미생물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므로[12], 지표면의 세균 농도와 지표면 근처 대기 중 세균 농도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13]. 사막과 산림 등의 자연생태기반 대륙, 인구 밀집 지역 및 해양에서 총입자상물질 중 생물학적 물질이 차지하는 비율(부피기준)은 각각 28%, 22% 및 10%로 추정되고 있다[14]. 또한, 1차 에어로졸 질량의 16-80%가 생물학적 발생원 유래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0].
미생물은 개별 세포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토양 먼지,잎 조각, 포자 또는 기타 미생물 등의 다른 입자와 결합될 수있다[15-17]. 미생물은 에어로졸화되면 대류 공기 이동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당한기간 동안 대기 중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막과가뭄 피해 지역에서 발생한 바이오에어로졸의 대륙간 이동이 관찰되었다[18]. 바이오에어로졸은 이동하면서 다른 발생원 유래의 미생물이 축적되기 때문에 바이오에어로졸을 구성하는 미생물 종류가 다양해진다[19]. 정상적인 바람 패턴에 의한 장거리 수송은 AM의 군집 구성에 영향을 준다[20].또한, 폭풍 등과 같은 강한 바람은 대기 중 미생물의 장거리이동에 기여한다[21].
대기 중으로 유입된 AM의 생존은 1차 운반체인 PM에 주로 의존하게 되는데, AM은 PM에 부착하여 군집을 형성하고 생명을 유지한다. PM에 부착된 유기물질 및 무기물질은AM의 생존에 필요한 영양소로 활용되어, AM의 기아를 예방하고 신진대사를 유지할 수 있다[22]. 또한, PM은 AM에게 보호막을 제공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해를 줄여줄 수 있다[22]. PM에 부착하지 않고 공기 중에 존재하는 AM은 PM부착 AM에 비해 생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PM에 부착된 AM은 다양한 생물종으로 구성되고, AM 사이의 상호작용 및 외부인자와의 작용/반작용 등에 의해 다양해지면서 군집을 점차적으로 형성해 간다[23].
대기 환경에서 AM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11, 24], AM은 대기의 물리적 및 화학적 과정에 기여하며[25], 시간에 따른 대기 중 세균의 군집 변화와 대기의 물리적, 화학적특성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었다[26]. Ariya and Amyot (2004)는 AM의 분해작용에 의해 대기 중 유기화합물의 화학적 조성이 변화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27].또한, 바이오에어로졸은 주변 입자에 부착될 수 있고, 강수량을 유발할 수 있는 구름 응결핵 및 얼음핵으로 작용하여기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28]. Pratt
AM은 ‘건식’ 혹은 ‘습식’ 침적에 의해 대기에서 제거된다[30]. 건식 침적은 건물, 식물, 수면, 지면 및 공기와 접촉하는 기타 표면에 대한 부착 등에 의해 일어난다[12, 30]. 습식침적은 비, 눈 또는 우박의 강수에 의해 일어난다[30, 31]. 이러한 AM은 흡입, 피부 노출 및 섭취 과정을 통해 인체에 유입되어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감염, 소화기 감염, 요로 감염, 심혈관 질환 및 만성 폐 질환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있다[32, 33].
대기 환경은 미생물 생육에는 혹독한 환경이지만, 상당량의 미생물이 존재한다. 대기 환경으로부터 에어로졸과 PM시료를 채취하여 배양법 혹은 비배양법으로 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한 결과를 Table 1에 정리하였다. 이란과 중국의 도심에서 채취한 에어로졸 혹은 PM 시료 중의 세균 수를, 세균 증식용 배지를 이용한 배양법으로 측정한 결과 101-103 cells/m3 수준이었다[34-36]. 연무가 없는 날(5.00×102-6.30 × 102 cells/m3)에 비해 연무가 낀 날의 에어로졸 중 세균 수(1.10 × 103-1.74 × 103 cells/m3)가 더 많았다[35]. Ji
Table 1 . Comparison of airborne bacterial concentration.
Sampling site | Sample type | Method | Bacterial concentration (cells/m3) | Ref. | |
---|---|---|---|---|---|
Country | Location | ||||
Iran | Urban | PM2.5, PM10 | Culture-dependent | 6.21×102 (1.86×10 -2.10×103) | [34] |
China | Urban | Aerosol | Culture-dependent | 5.00×102 – 6.30×102 on non-hazy days 1.10×103 – 1.74×103 on hazy days | [35] |
China | Urban | Aerosol | Culture-dependent | 2.01×102 (<12 – 3.26 ×103) | [36] |
China | Urban | PM2.5 | Culture-dependent | 1.11×103 (8.00×103 – 5.80×103) | [37] |
China | Urban | PM2.5 | Cytometry | 0.68×106 on non-pollution days 1.01×106 on low pollution days 1.48×106 on middle pollution days 2.32×106 on heavy pollution days | [38] |
USA | Suburban, agricultural field, forest | Aerosol | Microscopy | 105-106 | [39] |
USA | Mountain | Aerosol | Microscopy | 103-105 | [40] |
Japan | Troposphere | Aerosol | Microscopy | 18.40±3.20×106 at 800 m 2.28±0.83×106 at 3000 m | [19] |
China | Coastal region | Aerosol | Microscopy | 6.55×105 on non-hazy days 7.09×105 on hazy days 9.00×105 on foggy days | [41] |
Japan | Seaside site | Aerosol | Microscopy | 105-106 | [42] |
Greece | Urban | Aerosol | Microscopy | Max. 4.10×105 | [43] |
China | Urban | PM2.5, PM10, TSP | Microscopy | 7.70×104 – 1.60×107 | [44] |
China | Industrial region | PM2.5 PM10 | Microscopy Microscopy | 0.90 ×106 (0.05-3.37×106) 1.86 ×106 (0.17-5.73×106) | [45] |
China | Urban | PM2.5 | Microscopy | 0.73-1.52 ×105 at 1.5 m 0.59-1.42 ×105 at 100 m 0.69 – 0.97 ×105 at 229.5 m | [46] |
Korea | Urban | TSP | qPCR | 5.19×101-4.31×103 | [47] |
Italy | Urban | TSP | qPCR | 1.70×105 (104-105) | [13] |
Caribbean Sea | Upper troposphere | Aerosol | qPCR Microscopy | 5.10×103 1.50×105 | [21] |
Japan | Suburban | Aerosol | qPCR | 1.80×104 (1.10×103-1.30×105) | [48] |
China | Urban, suburban, costal urban, industrial urban | PM2.5 | qPCR | 1.19×105 (4.82×104-2.64×105) | [49] |
China | Urban | PM2.5 | qPCR | 1.90×105 before biomass burning 1.20×105 after biomass burning | [50] |
China | Urban | PM2.5 | qPCR | 106 on middle pollution days 105 on Heavy pollution days | [51] |
세균의 16S rRNA 유전자 부분을 정량적으로 PCR (qPCR) 하여 얻은 gene copy number를 세균 개체수로 환산할 수 있다[52, 53]. 이러한 qPCR 방법으로 세균 개체수를측정한 결과, 대기 시료 대부분의 세균 개체수는 103-105 cells/m3 수준이었다[13, 21, 47-51]. 대기 오염도가 심해지면 대기 중 세균 개체수는 감소하였다[51]. 한편, DeLeon-Rodriguez
대기 시료 중에 함유된 곰팡이 개체수를 측정한 결과를Table 2에 정리하였다. 배양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곰팡이 개체수는 102-103 cells/m3 수준이었으나[35, 37, 54], 비배양법인 qPCR을 이용하여 측정한 개체수는 103-104 cells/m3 이었다[47, 50]. Li
Table 2 . Comparison of airborne fungal concentration.
Sampling site | Sample type | Method | Fungal concentration (cells/m3) | Ref. | |
---|---|---|---|---|---|
Country | Location | ||||
Greece | Coastal city | Aerosol | Culture-dependent | 4.34×102 (102-103) | [54] |
China | Urban | Aerosol | Culture-dependent | 2.50×102 – 3.98×102 on non-hazy days 1.47×103 – 1.70×103 on hazy days | [35] |
China | Urban | PM2.5 | Culture-dependent | 9.48×102 (4.10×10 – 7.21×103) | [37] |
Korea | Urban | TSP | qPCR | 9.56×101-4.22×104 | [47] |
China | Urban | PM2.5 | qPCR | 1.40×103 before biomass burining 4.20×104 after biomass burining | [50] |
배양법을 이용해서 측정한 값에 비해 비배양법(cytometry, 현미경 및 qPCR 이용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대기 시료중 미생물 개체수가 10-100배 이상 높았다(Tables 1, 2). 이는 자연에 서식하는 미생물 중 현재 배양 기술의 수준으로배양 가능한 미생물이 극히 일부이기 때문으로, 향후에도 비배양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다양한 대기 시료 대상의 세균 및곰팡이 개체수 정보가 많이 축적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보가 축적되면 대기 중 세균 및 곰팡이의 정량적인 거동 변화에 미치는 환경 인자의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
AM 분석을 위한 대기 시료는 에어로졸, PM, 바이오에어로졸 형태로 채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료채취기(sampler)를 이용할 수 있다[55]. 시료채취기는 필터에 PM1, PM2.5, PM10 또는 TSP를 포집하는 체적 공기시료 채취기(volume air sampler)와,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buffer나멸균된 증류수 등의 액체 또는 고체 배지에 바이오에어로졸을 포집하는 채취기가 있다[56]. 바이오에어로졸 채취기는 주로 사이클론(cyclone), 임팩터(impactor), 임핀저(impinger),포자 트랩(spore trap)이 이용된다[57, 58]. AM의 메타게놈연구에 사용되었던 대표적인 채취기와 채취 정보를 Table 3에 정리하였다.
Table 3 . Sampling information in different samples and samplers.
Sample | Sampler | Collection surface | Flow rate | Time | Ref. |
---|---|---|---|---|---|
PM or aerosol | High-volume air sampler | Quartz fiber filters | 1130 | 23-24 h | [59, 60] |
1050 | 23 h 30 min | [61] | |||
500 | 23 h 50 min | [62] | |||
250 | 24 h | [13] | |||
Polyester membrane filters | 1000 | 24 h | [63] | ||
Glass fiber filters | 1170 | 24 h | [64] | ||
12 h | [44] | ||||
225 | 24 h | [47] | |||
(Self-built) | 300 | 7 days | [65] | ||
Medium-volume air sampler | Quartz fiber filters | 76.7 | 23 h 40 min | [66] | |
Glass fiber filters | 100 | 20-24 h | [51, 67, 68] | ||
Teflon filters | 23h | [50] | |||
Polycarbonate membranes | 16.7 | 24 h | [69] | ||
16.7 | 1 h | [46] | |||
Mini-volume sampler | Quartz fiber filters | 5 | 40 min | [66] | |
Vacumm pump filtration | Quartz fiber filters | 16.7 | - | [70] | |
Cellulose nitrate filters | 30 | 1.5 h | [39] | ||
20 | 3 h | [21] | |||
16 | 8 h 30 min | [40] | |||
Polycarbonate filters | 10 | 3 h | [48] | ||
0.3 | 1-24 h | [33] | |||
- | 12 h | [71] | |||
Bioaerosol | Cyclone | Teflon filters | 16.7 | 24 h | [72] |
Eppendorf tubes (1.5 mL) | - | - | [73] | ||
Liquid buffer | 450 | 2 h | [74] | ||
Impactor | Medium | 28.3 | 3 min | [36] | |
Cellulose filters + medium | 28.3 | 15 min | [75] | ||
Petroleum jelly | 180 | 1 h | [76] | ||
- | 530 | 30 min | [15] | ||
Spore trap | Tubes, tapes | 10 | - | [77] | |
Tapes | - | - | [78] | ||
Impinger | Liquid buffer (sterile water, PBS buffer. Tween solution etc.) | 800 | 3 h | [17] | |
2 | 1 h | [79] | |||
12.5 | 3 h | [43] | |||
12.5 | 1 h | [40] | |||
10 | 20 min | [38] |
체적 공기시료 채취기는 유량에 따라 고용량(high-volume, 225 L/min 이상), 중용량(medium-volume, 76.7-100 L/min),저용량(low-volume, 16.7 L/min) 및 소용량(mini-volume, 5L/min)으로 나뉜다[13, 21, 33, 39, 40, 44, 46-48, 50, 51, 59-71]. 주로 사용되는 채취용 필터는 유리나 석영 등의 섬유 필터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나 셀룰로스(cellulose) 등의 멤브레인이 있다[80, 81]. Fig. 2에 고용량 공기시료 채취기를 나타내었는데, TSP는 특별한 거름 장치 없이 필터에 바로 포집되고(Fig. 2A), PM은 포집하고자 하는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 구역(fractionation zone)에서 분리되어 필터에 포집된다(Fig. 2B). 공기시료 채취기를 직접 제작및 개조하거나[65], 진공 펌프를 이용한 보틀 탑 여과장치(bottle top filtration)로 필터에 에어로졸을 포집한 연구도있었다[19, 21, 33, 39, 48]. 필터를 이용한 샘플링은 채취하기에 쉽고 용이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AM 시료 채취 방법이다[82]. 바이오에어로졸 채취기 중 사이클론과 임팩터도 포집면으로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57].
사이클론, 임팩터, 임핀저의 기본 원리는 공기 흐름의 급격한 방향 변화를 이용한 것으로, 일정 크기와 무게 이상의 입자는 관성력으로 인해 공기 흐름의 방향을 따라가지 못하고 포집면으로 떨어져 채취된다[55, 81]. Fig. 3에 사이클론을 모식화하였다. 사이클론에 유입된 공기는 나선형으로 소용돌이 치며 흐르고, 그 원심력으로 인해 더 크고 무거운 입자가 벽에 부딪치며 분리되어 사이클론 아래쪽에 쌓인다. 이렇게 사이클론 아래쪽에 1.5 mL 튜브를 설치하여 공기 시료를 포집한다. 또는 나선형의 공기 흐름이 사이클론 바닥에도달하면 소용돌이 가운데에 위로 흐르는 공기 흐름이 생기는데, 아래로 떨어지지 않은 작은 입자들이 위쪽으로 향하는공기흐름을 따라 올라가게 되고, 사이클론 위쪽에 설치한 포집면에 채취하기도 한다[57, 81]. 따라서 사이클론은 포집면으로 필터, 튜브, 액체 등을 다양하게 활용해왔다[72-74].
Fig. 4에는 임팩터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임팩터는 바이오에어로졸 채취에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며, 한 펌프에 여러개를 설치하거나 입자 크기에 따라 다층으로 분류하여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82]. 진공 펌프를 통해 노즐을 통과한 공기가 임팩터에 유입되면 슬릿을 지나 수직으로 위치한 포집면에 부딪쳐 공기가 꺾이게 되고 가볍고 작은 입자들은 공기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지만, 크고 무거운 입자는 공기 흐름이 꺾일 때 원심력에 의해 공기 흐름에서 탈락되어 포집면에 채취된다[15, 81]. 임팩터의 포집면은 필터, 페트리 디쉬의 아가 배지, 윤활유 등을 바른 플레이트나 테이프 등 다양하다[36, 75, 76, 81].
포자 트랩은 공기의 움직임이 아닌 중력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Durham-type과, 임팩터와 같은 원리를 사용하는Burkard/Hirst-type 및 슬릿 카트리지(slit cassettes)가 있다[81-83]. Fig. 5에 임팩터의 원리를 이용한 포자 트랩을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Fig. 5A의 카트리지 타입은 소형화된 임팩터와 같은 모습으로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얇게 배지가 올려져 있는 포집면에 AM이 채취된다[82]. Fig. 5B와 같은Burkard/Hirst-type은 원통형 드럼 안에 설치한 테이프가 천천히 돌아가며 포자가 채취된다[81]. Serrano-Silva and Calderón-Ezquerro (2018)는 포자 트랩 종류에 따른 군집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626개의 박테리아 속 중 Hirst-type에서 623개, Durham-type에서 490개가 발견되어 Hirst-type의 채취 결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77].
마지막으로 액체 포집면을 이용한 임핀저를 Fig. 6에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임핀저는 임팩터와 같은 원리로 작동하며, 1947년 Rosebury에 의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다[82]. 액체 포집면에 채취되기 때문에 미생물들의 활성이 유지되기 용이하며, 공기 채취기보다 비교적 포집 시간이 짧았다[17, 38, 40, 79].
위와 같이 채취기 종류가 다양하므로 분석 목적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데, 어떤 종류와 크기의미생물을 어떤 방법으로 연구할 것인지에 따라 채취기를 선택하고 조건을 결정해야 한다[57]. 예를 들어 전통적인 배양기반 분석에서는 액체 또는 고체 배지로 된 포집면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지만[82], 유량이 너무 크거나 포집 시간이 길 경우 포집면이 건조되어 배양 가능한 미생물을 포집하기에 부적당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84].
포집 효율은 시료채취기에 따라 다른데, 관성력을 이용하는 바이오에어로졸 채취기의 포집 효율은 공기의 유량, 포집면의 크기와 양, 장치 내 공기 분출구와 포집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분리입경(cut-off diameter)과 함께 분석된다[84]. 분리입경은 포집 가능한 최저 입경을 의미하며 분리 입경 이하의 작은 입자들은 포집되지 않고 채취기를 지나치므로, 이상적으로는 분리입경 이상의 입자는 100% 포집되어야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관성력을 이용한 채취기의 입자 직경에 따른 포집 효율 곡선에서 50%의 효율을나타내는 입자의 직경을 분리입경(d50)으로 정의한다. 채취기의 유량이 클수록 분리입경은 작아지고 채취할 수 있는 입자가 많다[81]. 일반적으로 세균은 1 µm 정도이지만 세균 덩어리(bacterial aggregates)를 이루거나 큰 입자에 붙어있기때문에 포집하기에 용이하고, 곰팡이 입자는 보통 2-5 µm이므로 포집 효율이 더 높은 편이다[84]. 최근에는 대기물리화학적 요인 및 PM 입경에 따른 AM 군집 차이 분석이 많이 진행됨에 따라 고용량 공기시료채취기(high-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하여 섬유 필터에 PM2.5를 채취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61, 62].
미생물 군집 분석에서 중요한 첫번째 단계는 DNA 추출로, 서로 다른 환경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군집을 비교하기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DNA 추출이 관건이다[85]. 상용화된DNA 추출 kit 또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추출 방법 한 가지만으로 수행된 DNA 추출 결과는 DNA 농도와 순도에 영향을 미쳐 메타게놈 분석 결과가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될 수있다[58]. 특히 공기 시료와 같이 채취 시료에 따라 다량의미생물이 서식 중이라는 보장이 어려운 경우에는 NGS (Next-Generation Sequencing) 분석에 적합할 정도의 질과고농도로 추출된 DNA를 얻는 것이 쉽지 않다[58]. 공기시료는 포집면에 따라 테이프, 아가 배지, 액체 및 필터에 부착된 형태로 채취되며, 그 중 필터는 포집 효율이 높으며 보관이나 채취 과정에서 다루기에 용이하다[81]. 또한 미생물의 생장성을 유지하기에 부적합하지만, 전통적인 배양법과달리 생장성이 없는 미생물이나 균사 조각만으로도 DNA 분석이 가능한 점 때문에 메타게놈 연구방법에서 자주 이용되는 채취 시료 형태이다[86].
그러나 필터가 DNA 추출시 저해요소로 작용하여 DNA 추출 방법에 추가적인 처리과정이 요구된다[86]. Table 4에 그동안 사용된 DNA 추출 방법 및 추가 처리 과정을 정리하였다. 상용화된 DNA 추출 kit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토양 시료용 kit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식물 시료용 kit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MoBio사(현재 Qigen사로 병합됨)의 Soil kit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MP사나Qiagen사의 kit가 그 다음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시료 전처리의 경우, 필터의 먼지를 긁어내거나 필터의 먼지 부분만얇게 떠서 사용한 (scratching or slicing) 경우에는 다른 과정을 추가하지 않았다[43, 70, 72]. 필터에서 시료만 분리하여 DNA 추출하기 위해 Tween 20 등의 세제를 추가한 PBS나 멸균수에 필터를 담그고 원심분리 등을 통해 씻어내는(washing) 전처리도 하였다[60, 63, 71, 88]. 그 중 필터를 씻어낸 용액을 다른 필터에 거른 후 새로운 필터로 DNA 추출을 수행하기도 하였다[60]. 반면 필터를 막자 사발에 갈아서PM과 필터를 가루 형태로 만든 뒤 DNA 추출한 경우도 있었다[59, 61, 62, 66, 87]. 온도를 높여주는 과정(heating)은세포 용해를 위한 용액을 넣은 후 65℃ 전후에서 수행되었다[39, 44]. 필터에서 바이오매스를 떨어트리거나 세포 파괴를 돕기 위해 물리적인 방법들이 활용되었는데, 교반, 원심분리 및 볼텍싱이 많이 사용되었고 초음파처리를 추가하거나 kit 매뉴얼에 있는 비드비팅(bead-beating) 시간을 늘려서 수행한 경우도 있었다[13, 39, 44, 60, 63, 65, 68, 71, 87, 88]. 화학적인 방법으로는 세포 용해 용액에 담그는 과정을더 길게 수행하는 방법을 택하기도 하였다[13, 65]. Chen
Table 4 . Additional processes according to methods of DNA extraction.
Additional processes | DNA extraction | Ref. | |||||||||||
---|---|---|---|---|---|---|---|---|---|---|---|---|---|
Cutting into small pieces | Scratching or slicing | Washing | Filtering | Grounding | Heating | Shaking | Centrifuging | Voltexing | Sonication | Bead-beating | Longer lysis | ||
● | Power Soil DNA isolation kit | [66] | |||||||||||
● | [69] | ||||||||||||
● | [70] | ||||||||||||
● | ● | [59, 62] | |||||||||||
● | ● | ● | ● | ● | [60] | ||||||||
● | ● | ● | [44] | ||||||||||
● | [43] | ||||||||||||
● | ● | ● | [39] | ||||||||||
● | [72] | ||||||||||||
● | ● | ● | ● | ● | UltraClean Soil DNA Isolation Kit | [63] | |||||||
● | ● | FastDNA SPIN Kit for Soil | [68] | ||||||||||
● | ● | ● | FastDNA SPIN Kit for Soil | [13] | |||||||||
● | Fast-DNA SPIN Kit | [67] | |||||||||||
● | [49] | ||||||||||||
● | ● | DNeasy PowerSoil Kit | [61] | ||||||||||
● | ● | DNeasy plant mini & maxi kit NucleoSpin plant II & maxi kit | [87] | ||||||||||
● | ● | ● | LysingMatrixE, Fast DNA Spin Kit for Soil | [65] | |||||||||
● | ● | ● | ● | E.Z.N.A. Soil DNA Kit | [88] | ||||||||
● | ● | Phenol-chloroform extraction | [71] |
이렇게 필터의 저해 작용 및 세포 파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전처리 및 추가 처리과정이 요구됨에 따라 DNA 수율을 높이기 위한 추출 방법 비교한 연구가 보고되었다[89, 90]. 공기 시료를 채취한 필터의 DNA 추출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깨끗한 두 가지(석영, 유리) 섬유 필터와 PM10을 72시간 포집한 두 필터 모두에 gram-positive (
포집면이 필터가 아닌 경우에는 전처리 과정을 추가하는경우가 더 적었고, DNA 추출 kit보다 phenol-chloroform 이나 CATB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21, 33, 36, 64, 79]. 액체 포집면에 채취한 경우에는 고르게 잘 섞어주는 과정이 전처리로 수행되었다[36]. 독특한 추가 처리과정으로는, 세포 용해과정에서 37℃에서 30분, 70℃에서 30분 정치후 -172℃의 액체 질소와 100℃의 끓는 물을 번갈아 3번 이동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79].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특정한 핵산을 증폭하는 기술로, 미생물 시퀀싱에 활용되며 다양하게 적용되어왔으나, 상황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이 필요하므로 PCR 조건의 최적화 과정이 필요하다[92]. PCR 수행에서는, 시퀀싱을 원하는 ribosomal DNA 영역에 따라 다른 프라이머(primer)를 선택해야 하며, 시퀀싱 기술에 따라 분석 가능한유전자 영역과 최적의 염기서열 길이를 고려하여 프라이머조합을 구성해야 한다[93]. 프라이머 길이는 PCR 반응의 특이성과 annealing 온도와 관련있으므로 프라이머에 따라 다른 온도 조건이 요구된다[94].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M 메타게놈을 분석한 기존 연구들이 사용한 유전자 영역에 따른프라이머 및 PCR 조건을 정리하였다. 박테리아 분류를 위해 16S rRNA 유전자 영역이 사용되며, 16S rRNA는 V1- V9의 9가지 V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95]. Table 5는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16S rRNA 영역의 프라이머에 따른 PCR온도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전통적인 Sanger sequencing과pyrosequencing을 위한 프라이머는 V1-V9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27F와 1492R이 사용되었고, pyrosequencing에서annealing 시간이 2분으로 긴 편이었다[15, 17, 36, 71]. Pyrosequencing에 사용된 다른 프라이머 쌍은 52-55℃에서30-60초 동안 annealing 과정을 거쳤는데, GM3F와 907R프라이머 쌍만 44℃에서 90초로, 낮은 annealing 조건으로수행되었다[43, 65, 74, 79, 88, 97]. DGGE에 사용된 GM3F와 GM4R 프라이머의 annealing 조건 또한 45℃에서 1분으로 낮은 온도 조건이었다[48].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인Illumina Miseq에 사용된 프라이머 쌍은 8F와 518R, 341F와 805R, 338F와 806R, 515F와 806R, Bakt_341F와Bakt_805R가 있었고, annealing 조건은 50-56℃에서 30-50초범위에 있었다. 그 중 338F와 806R, 515F와 806R 프라이머가 많이 사용되었고, 같은 프라이머를 사용해도 온도 조건이다른 경우도 있었다. PCR 결과는 온도 및 시간 조건뿐만 아니라 시료의 DNA 추출량과 순도, PCR에 사용되는 buffer조성 등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90]. 표에는 포함하지 않았지만, Ion 16S™ Metagenomics Kit, catalogue number A26216 (Thermo Fisher Scientific Inc.)를 이용하여 V2-V9까지의 여러 영역에 대하여 PCR 수행한 연구도 있었다[77].
Table 5 . Primer and PCR conditions for bacteria (16S rRNA gene) sequencing.
Method of sequencing | Primers | PCR condition | Ref. | ||||||
---|---|---|---|---|---|---|---|---|---|
Forward | Reverse | Initial denaturation | Cycles | Denaturation | Annealing | Extension | Final extension | ||
Sanger sequencing | 27F (AGAGTTTGATCMTGGCTCAG) | 1492R (GGYTACCTTGTTACGACTT) | 95°C, 2 min | 30 | 95°C, 30 s | 50°C, 30 s | 72°C, 45 s | 72°C, 7 min | [15] |
94°C, 5 min | 30 | 94°C, 30 s | 55°C, 30 s | 72°C, 30 s | 72°C, 10 min | [36] | |||
Pyrosequencing | No info. | 30 | 95°C, 60 s | 55°C, 2 min | 72°C, 2 min | No info. | [17] | ||
No info. | 30 | 94°C, 60 s | 56°C, 2 min | 72°C, 2 min | No info. | [71] | |||
27F (CGTATCGCCTCCCTCGCGCCATCAG) | 533R (CTATGCGCCTTGCCAGCCCGCTCAG) | 95°C, 2 min | 25 | 95°C, 30 s | 55°C, 30 s | 72°C, 30 s | 72°C, 5 min | [88] | |
109f (ACKGCTCAGTAACACGT) | 934r (GTGCTCCCCCGCCAATTCCT) | 94°C, 3 min | 35 | 94°C, 30 s | 52°C, 30 s | 72°C, 90 s | 72°C, 5 min | [65] | |
S D-Bact-0341-b-s-17 (CCTACGGGNGGCWGCAG) | S-D-Bact 0785-a-A-21 (GACTACHVGGGTATCTAATCC) | 94°C, 3 min | 30 | 94°C, 30 s | 53°C, 40 s | 72°C, 60 s | 72°C, 5 min | [43] | |
GM3F (AGAGTTTGATCMTGGC | 907R (CCGTCAATTCMTTTGAGTTT) | 94°C, 10 min | 30 | 94°C, 60 s | 44°C, 90 s | 68°C, 2 min | 68°C, 5 min | [79] | |
V3_357F (CCTACGGGAGGCAGCAG) | V5_926R (CCGTCAATTCMTTTRAGT) | No info. | [74] | ||||||
341F (CCTACGGGAGGCAGCAGGC) | 907R (CCGTCAATTCMTTTRAGTTT) | 5 min | 30 | 95°C, 60 s | 55°C, 60 s | 72°C, 60 s | 72°C, 10 min | [97] | |
DGGE | 341F (CCTACGGGAGGCAGCAGGC) | 518R (ATTACCGCGGCTGCTGG) | 94°C, 3 min | 35 | 94°C, 60 s | 60°C, 60 s | 72°C, 60 s | 72°C, 3 min | [48] |
GM3F (AGAGTTTGATCMTGGC) | GM4R (TACCTTGTTACGACTT) | 94°C, 3 min | 35 | 94°C, 60 s | 45°C, 60 s | 72°C, 60 s | 72°C, 3 min | ||
Ion S5™ XL Sequencing | 515F (GTGCCAGCMGCCGCGGTAA) | 806R (GGACTACHVGGGTWTCTAAT) | 98°C, 60 s | 30 | 98°C, 10 s | 50°C, 30 s | 72°C, 30 s | 72°C, 5 min | [64] |
Illumina MiSeq | 8F (AGAGTTTGATCCTGGCTCAG) | 518R (ATTACCGCGGCTGCTGG) | 95°C, 10 min | 35 | 95°C, 15 s | 52°C, 45 s | 72°C, 30 s | 72°C, 10 min | [96] |
338F (ACTCCTACGGGAGGCAGCA) | 806R (GGACTACHVGGGTWTCTAAT) | 94°C, 5 min | 29 | 94°C, 30 s | 50°C, 30 s | 72°C, 45 s | 72°C, 5 min | [66] | |
94°C, 2 min | 25 | 94°C, 30 s | 56°C, 30 s | 72°C, 30 s | 72°C, 5 min | [51] | |||
94°C, 5 min | 30 | 94°C, 30 s | 50°C, 30 s | 72°C, 45 s | 72°C, 5 min | [59,62] | |||
98°C, 2 min | 30 | 98°C, 15 s | 55°C, 30 s | 72°C, 5 min | No info. | [46] | |||
515F (GTGCCAGCMGCCGCGGTAA) | 806R (GGACTACHVGGGTWTCTAAT) | 94°C, 3 min | 35 | 94°C, 45 s | 50°C, 60 s | 72°C, 90 s | 72°C, 10 min | [55,70,72] | |
Bakt_341F (CCTACGGGNGGCWGCAG) | Bakt_805R (GACTACHVGGGTATCTAATCC) | No info. | [76] |
No info., No information.
곰팡이 분류를 위해서는 18S rRNA 유전자,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및 28S rRNA 유전자 영역을 사용하는데[97], 해당 영역의 프라이머와 PCR 조건을 시퀀싱 방법에따라 Table 6에 정리하였다. Sanger sequencing에 ITS4와ITS5를 이용하여 PCR 수행한 annealing 온도는 67℃로 높았으며, Ion Torrent sequencing의 tmL-c와 tmL-h가 61℃, pyrosequencing의 ITS5와 ITS4Z가 45℃ 조건이었던 것을제외하면 50-58℃ 범위의 일반적인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Annealing 시간 조건이 가장 짧았던 프라이머 조합은c-A4125와 d-B49863, ITS3과 ITS4의 15초 조건이었으며 이외 조건들은 30-60초 범위에 속하였다. 박테리아의 16SrRNA 영역 PCR에서는 27F와 1492R, 338F와 806R, 515F와 806R이 일반적으로 이용되었던 것에 비해 곰팡이 분류를 위한 PCR 프라이머는 더 다양한 종류와 조합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Fröhlich-Nowoisky
Table 6 . Primer and PCR conditions for Fungi (ITS and 18S gene) sequencing.
Method of equencing | Primer (5′-3') | PCR condition | Ref. | ||||||
---|---|---|---|---|---|---|---|---|---|
Forward | Reverse | Initial denaturation | Cycles | Denaturation | Annealing | Extension | Final extension | ||
Sanger sequencing | ITS4 (TCCTCCGCTTATTGATATGC) | ITS5 (AGTAAAAGTCGTAACAAGG) | 95°C, 10 min | 30 | 94°C, 30 s | 67°C, 60 s | 72°C, 60 s | 72°C, 10 min | [73] |
c-A49325 (CGAAATCGGTAGACGCTACG) | d-B49863 (GGGGATAGAGGGACTTGAAC) | 94°C, 2 min | 30 | 94°C, 30 s | 55°C, 15 s | 65°C, 2 min | 65°C, 10 min | [98] | |
Pyrosequencing | ITS5 (GGAAGTAAAAGTCGTAACAAGG) | ITS4 (TCCTCCGCTTATTGATATGC) | 94°C, 3 min | 35 | 94°C, 30 s | 54°C, 30 s | 72°C, 90 s | 72°C, 5 min | [65] |
ITS5 (GGAAGTAAAAGTCGTAACAAGG) | ITS4B (CAGGAGACTTGTACACGGTCCAG) | 94°C, 3 min | 35 | 94°C, 30 s | 58°C, 30 s | 72°C, 90 s | 72°C, 5 min | ||
ITS5 (GGAAGTAAAAGTCGTAACAAGG) | ITS4A (CGCCGTTACTGGGGCAATCCCTG) | 94°C, 3 min | 35 | 94°C, 30 s | 58°C, 30 s | 72°C, 90 s | 72°C, 5 min | ||
ITS5 (GGAAGTAAAAGTCGTAACAAGG) | ITS4Z (TCCTCCGCTTATTRATATGC) | 94°C, 3 min | 35 | 94°C, 30 s | 45°C, 30 s | 72°C, 90 s | 72°C, 5 min | ||
ITS5 (GGAAGTAAAAGTCGTAACAAGG) | ITS4C (TCCTCCGCTTATTGATATGC) | 94°C, 3 min | 35 | 94°C, 30 s | 53°C, 30 s | 72°C, 90 s | 72°C, 5 min | ||
ITS1 (TCCGTAGGTGAACCTGCGG) | 5.8S (TCGATGAAGAACGCAGCG) | 94°C, 3 min | 35 | 94°C, 30 s | 55°C, 30 s | 72°C, 90 s | 72°C, 5 min | ||
18Sai (CCTGAGAAACGGCTACCACATC) | 18Sbi (GAGTCTCGTTCGTTATCGGA) | 94°C, 3 min | 35 | 94°C, 30 s | 55°C, 30 s | 72°C, 90 s | 72°C, 5 min | ||
18S-H17F (AAATTACCCACTCCCGGCA) | 18S-H35R (TGGTGAGGTTTCCCGTGTT) | 94°C, 3 min | 35 | 94°C, 30 s | 58°C, 30 s | 72°C, 90 s | 72°C, 5 min | ||
NS1 (GTAGTCATATGCTTGTCTC) | NS2 (GGCTGCTGGCACCAGACTTGC) | 95°C, 5 min | 30 | 95°C, 60 s | 55°C, 60 s | 72°C, 60 s | 72°C, 10 min | [97] | |
ITS1F (CTTGGTCATTTAGAGGAAGTAA) | ITS4 (TCCTCCGCTTATTGATATGC) | 95°C, 3 min | 30 | 95°C, 60 s | 51°C, 60 s | 72°C, 60 s | 72°C, 10 min | ||
T-RFLP | ITS1F (CTTGGTCATTTAGAGGAAGTAA) | ITS4 (TCCTCCGCTTATTGATATGC) | 94°C, 5 min | 35 | 94°C, 60 s | 50°C, 60 s | 72°C, 90 s | 72°C, 10 min | [47] |
Ion Torrent sequencing | trnL-c (CGGTAGACGCTACG) | trnL-h (CCATTGAGTCTCTGCACCTATC) | 98°C, 30 s | 25 | 98°C, 30 s | 61°C, 30 s | 72°C, 30 s | 72°C, 5 min | [78] |
Illumina MiSeq | ITS1F (CTTGGTCATTTAGAGGAAGTAA) | ITS4 (TCCTCCGCTTATTGATATGC) | 95°C, 5 min | 30 | 95°C, 60 s | 54°C, 45 s | 72°C, 60 s | 72°C, 10 min | [96] |
ITS3 (GCATCGATGAAGAACGCAGC) | ITS4 (TCCTCCGCTTATTGATATGC) | 95°C, 10 min | 35 | 95°C, 15 s | 52°C, 45 s | 72°C, 30 s | 72°C, 10 min | ||
ITS1F (CTTGGTCATTTAGAGGAAGTAA) | ITS2 (GCTGCGTTCTTCATCGATGC) | 94°C, 3 min | 35 | 94°C, 45 s | 50°C, 60 s | 72°C, 90 s | 72°C, 10 min | [87] | |
ITS86 (GTGAATCATCGAATCTTTGAA) | ITS4 (TCCTCCGCTTATTGATATGC) | 95°C, 2 min | 40 | 95°C, 30 s | 55°C, 30 s | 72°C, 60 s | 72°C, 10 min | [76,87] | |
ITS5 (GGAAGTAAAAGTCGTAACAAGG) | ITS2 (GCTGCGTTCTTCATCGATGC) | No info. | [67] | ||||||
ITS1F (CTTGGTCATTTAGAGGAAGTAA) | ITS2 (GCTGCGTTCTTCATCGATGC) | 94°C, 2 min | 35 | 94°C, 30 s | 50°C, 30 s | 72°C, 30 s | 72°C, 5 min | [50] | |
1737F (GGAAGTAAAAGTCGTAACAAGG) | 2043R (GCTGCGTTCTGCATCGATGC) | 94°C, 5 min | 30 | 94°C, 30 s | 56°C, 30 s | 72°C, 45 s | 72°C, 5 min | [62,69] | |
ITS3_KYO2 (GATGAAGAACGYAGYRAA) | ITS4 (TCCTCCGCTTATTGATATGC) | No info. | [61] | ||||||
1737F (GGAAGTAAAAGTCGTAACAAGG) | 2043R (GCTGCGTTCTGCATCGATGC) | 94°C, 5 min | 29 | 94°C, 30 s | 56°C, 30 s | 72°C, 45 s | 72°C, 5 min | [66] | |
ITS-p3 (YGACTCTCGGCAACGGATA) | ITS4 (TCCTCCGCTTATTGATATGC) | No info. | [76] |
No info., No information
특정 지역에서 계절 혹은 대기오염도별로 채취한 에어로졸 혹은 PM 시료를 대상으로 세균과 곰팡이 메타게놈의 종풍부도(richness) 및 다양성(diversity)을 분석한 결과를Table 7에 정리하였다. 시료에서 발견되지 않거나 보이지 않은 종이 남아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견된 종의 정보를 바탕으로 종에 대한 풍부도를 추정하는 지표인 Chao 1 값은시료를 채취한 지역, 계절 및 대기오염도에 따라 매우 상이하였다(Table 7).
Table 7 . Comparison of microbial diversity in aerosol and PM samples.
Sample (Sampling site) | Pollution (μg-PM10/m3) | Bacteria/Fungi | Season | Microbial diversity | Ref. | ||||
---|---|---|---|---|---|---|---|---|---|
No. of OTU | Chao 1 | ACE | Shannon index | Simpson index | |||||
Aerosol (Mainz, Germany) | No information | Fungi | All season | 5.2 | 0.01 | [65] | |||
TSP (Seoul, Korea) | No information | Bacteria | Winter | 3.62 | [47] | ||||
Fungi | 3.04 | ||||||||
TSP (Milan, Italy) | 25.58 (PM10) | Bacteria | Spring | 52 | 2.31 | [13] | |||
22.18 (PM10) | Summer | 50 | 2.4 | ||||||
38.48 (PM10) | Fall | 51 | 2.39 | ||||||
45.03 (PM10) | Winter | 52 | 2.3 | ||||||
PM2.5 (Beijing-Tianjin-Hebei, China) | 35-194 | Bacteria | Spring | 647 | 700 | 689 | 4.14 | 0.12 | [49] |
PM2.5 (Beijing, China) | AQIa, 0 – 300 | Bacteria | Spring | 2420 | 7608 | 14649 | 3.17 | 0.94 | [62] |
Summer | 837 | 1900 | 2916 | 2.54 | 0.99 | ||||
Fall | 2078 | 3438 | 4368 | 5.02 | 0.97 | ||||
Winter | 2730 | 5031 | 7690 | 4.66 | 0.95 | ||||
Fungi | Spring | 670 | 824 | 1298 | 2.35 | 0.98 | |||
Summer | 297 | 334 | 351 | 3.01 | 1 | ||||
Fall | 354 | 463 | 629 | 2.26 | 0.99 | ||||
Winter | 627 | 646 | 721 | 3.37 | 0.99 | ||||
PM2.5 (Beijing, China) | AQI, 0-100 | Bacteria | Spring | 2181 | 4177 | 7543 | 4.56 | [59] | |
Summer | 1607 | 3430 | 5533 | 5.42 | |||||
Fall | 3052 | 4170 | 6895 | 5.69 | |||||
Winter | 4884 | 6082 | 11079 | 6.13 | |||||
Fungi | Spring | 221 | 394 | 529 | 1.82 | ||||
Summer | 165 | 359 | 679 | 0.85 | |||||
Fall | 509 | 614 | 793 | 2.68 | |||||
Winter | 984 | 743 | 943 | 2.91 | |||||
AQI, 101-200 | Bacteria | Spring | 1880 | 4360 | 8170 | 4.25 | |||
Summer | 1408 | 2197 | 3176 | 5.22 | |||||
Fall | 3084 | 3589 | 5909 | 5.51 | |||||
Winter | 4328 | 6297 | 11162 | 6.13 | |||||
Fungi | Spring | 283 | 543 | 726 | 2.11 | ||||
Summer | 154 | 392 | 740 | 1.3 | |||||
Fall | 364 | 435 | 566 | 1.95 | |||||
Winter | 964 | 820 | 1204 | 2.91 | |||||
AQI, 201-300 | Bacteria | Summer | 1005 | 1606 | 1873 | 5.04 | |||
Fall | 2158 | 2545 | 3648 | 5.43 | |||||
Winter | 3527 | 4416 | 7236 | 5.94 | |||||
Fungi | Summer | 179 | 297 | 392 | 0.95 | ||||
Fall | 340 | 365 | 558 | 1.77 | |||||
Winter | 851 | 931 | 1247 | 3.36 | |||||
AQI, >300 | Bacteria | Winter | 3723 | 4421 | 6315 | 6.02 | |||
Fungi | Winter | 878 | 727 | 884 | 3.32 | ||||
Aerosol (Mexico city, Mexido) | [Sampling method] | Bacteria | Fall | 4713 | 8.94 | 0.99 | [77] | ||
Durham-type spore trap | |||||||||
Hirst-type spore trap | 5824 | 10.58 | 1 | ||||||
High-throughput Jet sampler | 3260 | 8.18 | 0.99 | ||||||
PM2.5 (Beijing, China) | AQI, 0-300, > 300 | Bacteria | All season | 5.6 | [67] | ||||
Fungi | All season | 3.89 | |||||||
PM2.5 (Jinan, China) | AQI, < 100 | Bacteria | Fall/Winter | 0.84 | [38] | ||||
AQI, 101-150 | 0.96 | ||||||||
AQI, 150-200 | 0.95 | ||||||||
AQI, 201-300 | 0.91 | ||||||||
PM2.5 (Xinxiang, China) | Bacteria | Spring | 2343 | 2257 | 2310 | 9.63 | 0.99 | [64] | |
Summer | 1608 | 1625 | 1619 | 9.17 | 1 | ||||
Fall | 1312 | 1320 | 1330 | 7.07 | 0.94 | ||||
Winter | 1993 | 2090 | 2081 | 7.91 | 0.97 | ||||
PM2.5 (Yucheng, China) | 96.3 | Bacteria | Summer | [50] | |||||
Before biomass burning | 355 | 388 | 380 | 3.61 | 0.09 | ||||
After biomass burning | 364 | 417 | 413 | 3.61 | 0.08 | ||||
Fungi | Summer | ||||||||
Before biomass burning | 297 | 318 | 318 | 2 | 0.34 | ||||
After biomass burning | 246 | 276 | 297 | 1.66 | 0.44 | ||||
PM2.5 (Guilin, China) | 15-176 | Bacteria | Winter | [68] | |||||
Haze day | 2760 | 410 | 503 | 4.41 | 0.86 | ||||
Non-Haze day | 2954 | 458 | 538 | 4.73 | 0.88 | ||||
PM2.5 (Nanchang, China) | Urban, 37.5 | Fungi | Spring | 488 | 816 | 832 | 4.95 | 0.89 | [61] |
Suburban, 27.7 | 527 | 856 | 870 | 5.21 | 0.9 | ||||
Forest, 22.9 | 540 | 851 | 874 | 5.67 | 0.93 | ||||
PM2.5 (Jinan & Weihai, China) | Jina, 69.9 | Bacteria | Winter | 89 | 93 | 2.3 | 0.19 | [51] | |
Weihai, 36.6 | 40 | 45 | 1.8 | 0.23 | |||||
PM2.5 (Xi’an, China) | Fungi | Mountain | [69] | ||||||
Spring | 1430 | 257 | 250 | 6.36 | 0.96 | ||||
Summer | 1385 | 314 | 315 | 6.17 | 0.95 | ||||
Fall | 1217 | 271 | 272 | 6.51 | 0.97 | ||||
Winter | 814 | 206 | 205 | 5.21 | 0.95 | ||||
Urban | |||||||||
Spring | 1247 | 182 | 182 | 5.25 | 0.93 | ||||
Summer | 916 | 221 | 221 | 5.79 | 0.96 | ||||
Fall | 1064 | 268 | 269 | 6.48 | 0.97 | ||||
Winter | 866 | 210 | 213 | 5.87 | 0.96 | ||||
PM2.5 (Xi’an, China) | Non-pollution (22-70) | Bacteria | Fall/Winter | [46] | |||||
1.5 m | 758 | 6.12 | 0.94 | ||||||
100 m | 934 | 6.46 | 0.95 | ||||||
229.5 m | 598 | 6.91 | 0.98 | ||||||
Pollution (105-195) | Fall/Winter | ||||||||
1.5 m | 809 | 5.85 | 0.93 | ||||||
100 m | 585 | 5.58 | 0.92 | ||||||
229.5 m | 722 | 5.51 | 0.91 | ||||||
PM2.5/PM10 (Beijing in China) | 44 (PM2.5) | Bacteria | Spring | 2763 | 3798 | 3.04 | [66] | ||
63 (PM10) | Summer | 1326 | 1313 | 5.1 | |||||
Fall | 3108 | 3325 | 5.97 | ||||||
Winter | 4252 | 4318 | 6.41 | ||||||
All season | |||||||||
AQI, 0-50 | 3150 | 3559 | 5.1 | ||||||
AQI, 51-100 | 2973 | 3262 | 5.3 | ||||||
AQI, 101-150 | 2198 | 2757 | 3.82 | ||||||
AQI, 151-200 | 3043 | 3309 | 5.83 | ||||||
Fungi | Spring | 1559 | 1649 | 3.09 | |||||
Summer | 794 | 805 | 3.29 | ||||||
Fall | 1357 | 1368 | 3.15 | ||||||
Winter | 1864 | 1966 | 3.58 | ||||||
All season | |||||||||
AQI, 0-50 | 1553 | 1600 | 3.33 | ||||||
AQI, 51-100 | 1188 | 1289 | 2.99 | ||||||
AQI, 101-150 | 1454 | 1466 | 3.44 | ||||||
AQI, 151-200 | 1766 | 1775 | 3.79 |
기온과 강수량 등은 PM의 미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PM의 미생물 메타게놈 다양성에 미치는 계절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시료 채취 지역과 대기오염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인 경향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PM의 세균 메타게놈의 다양성에 미치는 계절의 영향을 살펴보면, 종 풍부도 지표인Chao 1와 ACE 지표는 겨울철이 가장 높고, 그 다음 봄, 가을 및 여름 순이었다. 그런데, 종 다양성 지표인 Shannon 지표는 겨울 > 가을 > 여름 > 봄 순으로 겨울이 가장 높고 봄이 가장 낮았다. PM의 곰팡이 메타게놈의 다양성에 미치는계절적 영향은 세균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과 매우 유사하였다. 종풍부도 지표인 Chao 1와 ACE 지표는 겨울철이 가장높고, 여름에 가장 낮았다. Shannon 지표는 겨울철에 가장높았고, 봄철에 가장 낮은 경향이 있었다. 여름철에는 강우가 빈번하게 내리고, 고온과 강한 자외선(UV) 복사로 인해 AM에 대한 살균 효과가 종 다양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추측된다[66].
PM 메타게놈의 다양성은 대기오염도에 따라 달라지며, 기온과 강수량 등은 PM의 미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Du
우리나라, 일본, 중국, 미국 등에서 에어로졸 혹은 PM 시료를 채취하여 세균의 메타게놈을 문(phylum)과 속(genus)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를 Table 8과 Table 9에 정리하였다.시료를 채취한 지역 및 계절과 대기오염 정도에 따라 세균메타게놈을 구성하는 세균 종류에는 매우 차이가 있지만, 문수준의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Table 8의 결과를 이용하여 문 종류별 상대적 우점도의 분포와 중간값을 계산하였다(Fig. 7). 상대적 우점도의 중간값 기준으로, Proteobacteria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51.0%), 그 다음 Firmicutes (17.8%), Actinobacteria (13.0%), Bacteroidetes (7.7%),
Table 8 . Dominant bacterial phylum in aerosol and PM samples.
Sample (Sampling site) | Method | Pollution | Season | Bacterial phylum | Ref. | |||||
---|---|---|---|---|---|---|---|---|---|---|
Actinobacteria (%) | Bacteroidetes (%) | Firmicutes (%) | Proteobacteria (%) | |||||||
TSP (Seoul, Korea) | T-RFLP | No information | Winter | ● (12.7) | ● (7.6) | ● (15.6) | ● (50.0) | [47] | ||
Aerosol (Colorado, USA) | Pyrosequencing | 2.91×104 – 1.64×106 particles/m3 | Spring | ● (2.3) | ● (8.9) | ● (9.7) | ● (6.1) | ● (64.4) | [40] | |
Summer | ● (1.5) | ● (13.0) | ● (6.6) | ● (4.9) | ● (60.3) | |||||
Fall | ● (1.8) | ● (16.0) | ● (7.7) | ● (19.6) | ● (44.1) | |||||
Winter | ● (1.9) | ● (11.8) | ● (12.7) | ● (8.4) | ● (59.7) | |||||
Aerosol (Caribbean Sea) | Pyrosequencing | No information | Summer | ● (6.4) | ● (5.3) | ● (0.5) | ● (5.4) | ● (81.0) | [21] | |
Aerosol (Toposphere, Japan) | Pyrosequencing | 1.05 – 8.84 ×106 particles/m3 | All season | ● | ● | ● | ● | [19] | ||
Aerosol (North Sea-Baltic Sea) | Pyrosequencing | No information | Summer | ● (16.3) | ● (22.9) | ● (8.3) | ● (49.3) | [79] | ||
Aerosol (Toyama, Japan) | DGGE | No information | All season | ● | ● | ● | ● | [48] | ||
PM2.5 (Beijing-Tianjin-Hebei, China) | Illunina Miseq | 35-194 μg/m3 | Spring | ● | ● | ● | ● | [49] | ||
Aerosol (Thessaloniki, Greece) | Pyrosequencing | No information | Spring/Summer/Winter | ● (17.0) | ● (10.0) | ● (3.0) | ● (18.0) | ● (47.0) | [43] | |
PM2.5 (Gwangju, Korea) | Illunina Miseq | 35.7 μg/m3 | Spring | ● (34.0) | ● (51.0) | [99] | ||||
48.9 μg/m3 | ● (4.5) | ● (29.0) | ● (57.0) | |||||||
PM2.5 (Beijing, China) | Illunina Miseq | 0 – 300 air quality index (AQI)a | All season | ● (33.9, dominant in summer and winter) | ● (3.19) | ● (15.3) | ● (19.9, dominant in fall) | ● (25.7) | [62] | |
PM2.5 (Beijing, China) | Illunina Miseq | 0 – 300 air quality index (AQI)a | Spring | ● | ● | ● | [59] | |||
Summer/Fall/Winter | ● | ● | ● | |||||||
PM2.5/PM10/TSP (Hangzhou, China) | Ion Torrent Sequencing | 22-236 μg-PM2.5/m3 37-249 μg-PM10/m3 | Winter | ● (16.5) | ● (11.6) | ● (18.0) | ● (15.5) | ● (32.2) | [44] | |
Aerosol (Mexico city, Mexido) | Ion Torrent Sequencing | [sampling method] Durham-type spore trap | Fall | ● (20.9) | ● (45.0) | ● (25.6) | [77] | |||
Hirst-type spore trap | ● (52.4) | ● (13.8) | ● (40.0) | |||||||
High-throughput Jet sampler | ● (19.7) | ● (70.5) | ||||||||
Aerosol (Northern China) | Illunina Miseq | Dust-bioaerosol 2016 Campain | Spring | ● | ● | ● | [33] | |||
PM2.5 (Beijing, China) | Illunina Miseq | Non-Pollution ~ Severe pollution (AQI > 300) | All season | ● | ● | ● | ● | [67] | ||
PM2.5 (Jinan, China) | Illunina Miseq | Non pollution (AQI < 100) | Fall/Winter | ● (4.4) | ● (17.4) | ● (3.7) | ● (63.8) | [38] | ||
Light pollution (101 < AQI < 150) | ● (3.4) | ● (1.7) | ● (<0.4) | ● (50.3) | ● (41.3) | |||||
Moderate pollution(150 < AQI < 200) | ● (1.0) | ● (17.6) | ● (<0.4) | ● (52.2) | ● (26.3) | |||||
Heavy pollution (201 < AQI < 300) | ● (8.1) | ● (1.5) | ● (<0.4) | ● (81) | ||||||
PM2.5 (Xinxiang, China) | Ion S5™ XL Sequencing | Spring | ● (1.7) | ● (24.3) | ● (5.2) | ● (3.4) | ● (23.9) | ● (37.4) | [64] | |
Summer | ● (6.9) | ● (16.9) | ● (7.5) | ● (0.5) | ● (17.8) | ● (34.2) | ||||
Fall | ● (0.7) | ● (13.9) | ● (12.0) | ● (3.0) | ● (23.8) | ● (41.8) | ||||
Winter | ● (1.7) | ● (9.9) | ● (15.8) | ● (9.5) | ● (26.6) | ● (28.7) | ||||
PM2.5 (Yucheng, China) | Illunina Miseq | 96.3 μg/m3 | Summer | ● (12.3) | ● (2.8) | ● (8.6) | ● (4.7) | ● (70.0) | [50] | |
PM2.5 (Guilin, China) | Illunina Miseq | 15-176 μg/m3 | Winter | ● (10.2) | ● (64.7) | ● (22.4) | [68] | |||
PM2.5 (Beijing, China/ Seoul, Korea/ Nagasaki, Japan) | Illunina Miseq | 81.4 μg/m3 in Beijing | All season | ● (18.7) | ● (3.0) | ● (2.2) | ● (20.8) | ● (51.9) | [70] | |
52.8 μg/m3 in Seoul | ● (9.75) | ● (2.7) | ● (1.1) | ● (23.9) | ● (60.2) | |||||
15.5 μg/m3 in Nagasaki | ● (11.3) | ● (2.5) | ● (2.2) | ● (16.7) | ● (65.2) | |||||
Average | ● (13.6) | ● (2.8) | ● (1.9) | ● (20.5) | ● (58.6) | |||||
PM2.5 (Jinan & Weihai, China) | Illunina Miseq | 69.9 μg/m3 in Jina (inland); 36.6 μg/m3 in Weihai (coastal) | Winter | ● | ● | ● | [51] | |||
PM2.5 (Xi’an, China) | Illunina Miseq | Non-pollution (22-70 μg/m3 ) | Fall/Winter | ● (7.81 at 229.5 m) | ● (12.9 at 1.5 m; 17.9 at 100 m; 13.8 at 229.5 m) | ● (58.6 at 1.5 m; 51.0 at 100 m; 78.2 at 229.5 m) | [46] | |||
Pollution (105-195 μg/m3 ) | Fall/Winter | ● (25.8 at 1.5 m; 17.6 at 100 m; 15.0 at 229.5 m) | ● (40.6 at 1.5 m; 59.6 at 100 m; 53.0 at 229.5 m) | |||||||
PM2.5/PM10 (Beijing in China) | Illunina Miseq | 44 μg-PM2.5/m3 63 μg-PM10/m3 | All season | ● (20.1) | ● (4.8) | ● (24.4) | ● (17.4) | ● (29.4) | [66] |
Table 9 . Dominant bacterial genus in aerosol and PM samples.
Sample (Sampling site) | Method | Pollution | Season | Dominant genus | Ref. |
---|---|---|---|---|---|
Aerosol (Toposphere, Japan) | Pyrosequencing | 1.05 – 8.84 ×106 particles/m3 | All season | [19] | |
Aerosol (North Sea-Baltic Sea) | Pyrosequencing | No information | Summer | [79] | |
Aerosol (Toyama, Japan) | DGGE | No information | Spring | [48] | |
Summer | |||||
Fall | |||||
Winter | |||||
PM2.5 (Beijing-Tianjin-Hebei, China) | Illunina Miseq | 35-194 μg/m3 | Spring | [49] | |
PM2.5 (Beijing, China) | Illunina Miseq | 0 – 300 air quality index (AQI)a | Spring | [62] | |
Summer | |||||
Fall | |||||
Winter | |||||
PM2.5 (Beijing, China) | Illunina Miseq | 0 – 300 air quality index (AQI)a | Spring | [59] | |
Summer | |||||
Fall | |||||
Winter | |||||
PM2.5/PM10/TSP (Hangzhou, China) | Ion Torrent Sequencing | 22-236 μg-PM2.5/m3 37-249 μg-PM10/m3 | Winter | [44] | |
PM2.5 (Beijing, China) | Illunina Miseq | Non-Pollution ~ Severe pollution (AQI > 300) | Spring | [67] | |
Summer/Fall/Winter | |||||
PM2.5 (Jinan, China) | Illunina Miseq | Non pollution(AQI < 100) | Fall/Winter | [38] | |
Light pollution (101 < AQI < 150) | Fall/Winter | ||||
Moderate pollution (150 < AQI < 200) | Fall/Winter | ||||
Heavy pollution (201 < AQI < 300) | Fall/Winter | ||||
PM2.5 (Xinxiang, China) | Ion S5™ XL Sequencing | Spring | [64] | ||
Summer | |||||
Fall | |||||
Winter | |||||
PM2.5 (Yucheng, China) | Illunina Miseq | 96.3 μg/m3 Before biomass burning | Summer | [50] | |
After biomass burnimg | Summer | ||||
PM2.5 (Guilin, China) | Illunina Miseq | 15-176 μg/m3 | Winter | [68] | |
PM2.5 (Jinan & Weihai, China) | Illunina Miseq | 69.9 μg/m3 in Jina (inland); 36.6 μg/m3 in Weihai (coastal) | Winter | [51] | |
PM2.5 (Xi’an, China) | Illunina Miseq | Non-pollution (22-70 μg/m3 ) | Fall/Winter 1.5 m | [46] | |
100 m | |||||
229.5 m | |||||
Pollution (105-195 μg/m3 ) | Fall/Winter 1.5 m | ||||
100 m | |||||
229.5 m | |||||
PM2.5/PM10 (Beijing in China) | Illunina Miseq | 44 μg-PM2.5/m3 63 μg-PM10/m3 | All season | [66] |
세균 문 수준의 상대적 우점도는 계절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미국의 콜로라도에서 계절별로 에어로졸 시료를 채취하여 세균의 메타게놈을 분석한 결과, Proteobacteria의 비율은 봄(64.4%)과 여름(60.3%)에 비해 가을(44.1%)과 겨울철(59.7%)에 약간 낮아졌다[40]. 이에 비해 Firmicutes의 비율은 봄(6.1%)과 여름(4.9%)에 비해 가을(19.6%)과 겨울철(8.4%)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40]. 중국의 Xinxiang에서채취한 PM2.5의 세균 메타게놈의 계절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봄, 여름, 가을, 겨울로 갈수록 Bacteroidetes의 비율은 점점 증가하나, Actinobacteria의 비율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64]. 세균의 메타게놈에 미치는 계절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Table 8에 정리한 결과를 계절별로 정리하여Fig. 8에 도시하였다. Proteobacteria의 비율은 봄(중간값54.0%)과 여름(54.8%)에 비해, 가을과 겨울에는 각각 41.8%와 30.5%로,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점점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반대로, Firmicutes의 비율은 여름(6.9%)에 비해, 봄과 가을에는 각각 15.0%와 19.7% 그리고 겨울에는 21.1%로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대기오염 정도도 세균 메타게놈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Ji
Bai
세균 메타게놈을 속(genus) 수준으로 비교해 보면(Table 9), 시료를 채취한 지역과 계절 및 대기오염도에 따라 우점세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우점종으로 분석된 세균은
계절에 따라 PM 시료의 세균 우점종이 바뀌는데, 중국 베이징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에 채취한 PM2.5 시료의 우점종은 각각
Proteobacteria와 Actinobacteria는 매우 건조하며 자외선이 강한 환경에도 견딜 수 있기 때문에[100], 대기오염이 악화된 이후에도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환경에 적응한 후에증가하였다[66]. 대기오염이 심한 조건에서는
세균은 세포벽 구조에 따라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구분된다. 대기 중 세균에서 그람 양성균의 비율은 58.5-89%, 그람 음성균의 비율은 11-32%로, 그람 양성균의 비율이 1.5배 이상 높았다[34, 68, 107, 108]. 이러한 결과는 그람 양성균이 그람 음성균보다 대기와 같은 가혹한 환경에서더 강한 생존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103].
에어로졸 및 PM 시료의 세균 메타게놈 정보에 비해 곰팡이의 메타게놈 정보는 적지만, 독일, 한국 및 중국 등에서 채취한 시료의 곰팡이 메타게놈 분석 결과를 Table 10에 정리하였다.
Table 10 . Dominant fungal phylum in aerosol and PM samples.
Sample (Sampling site) | Method | Pollution | Season | Fungal phylum | Fungal genus | Ref. | |||
---|---|---|---|---|---|---|---|---|---|
Ascomycota (%) | Basidiomycota (%) | Glomeromycota (%) | Zygomycota (%) | ||||||
Aerosol (Mainz, Germany) | Pyrosequncing | No information | All season | ● (34.0) | ● (64.0) | - | [65] | ||
TSP (Seoul, Korea) | T-RFLP | No information | Winter | ● (48.8) | ● (39.0) | ● (7.5) | - | [47] | |
PM2.5 (Gwangju, Korea) | Illunina Miseq | 35.7 μg/m3 48.9 μg/m3 | Spring Spring | ● (22.0) ● (81.0) | - | [99] | |||
PM2.5 (Beijing, China) | Illunina Miseq | 0 – 300 air quality index (AQI)a | All season | ● (74.7) | ● (3.4) | [62] | |||
PM2.5 (Beijing, China) | Illunina Miseq | 0 – 300 air quality index (AQI)a | All season | ● (95.4) | ● (1.5) | ● (0.1) | [59] | ||
PM2.5 (Beijing, China) | Illunina Miseq | Non-Pollution ~ Severe pollution (AQI > 300) | All season | ● | [67] | ||||
PM2.5 (Yucheng, China) | Illunina Miseq | 96.3 μg/m3 Before biomass burning | Summer | ● (86.0) | ● (5.0) | [50] | |||
After biomass burning | Summer | ● (86.0) | ● (5.0) | ||||||
PM2.5 (Nanchang, China) | Illunina Miseq | 27.7-37.5 μg/m3 22.9 μg/m3 in forest | Spring Spring | ● (90.4) ● (90.4) | ● (9.7) ● (9.7) | [61] | |||
PM2.5 (Xi’an, China) | Illunina Miseq | No information Mountain | Spring | ● | ● | [69] | |||
Summer | ● | ● | |||||||
Fall | ● | ● | |||||||
Winter | ● | ● | |||||||
Urban | Spring | ● | ● | ||||||
Summer | ● | ● | |||||||
Fall | ● | ● | |||||||
Winter | ● | ● | |||||||
PM2.5/PM10 (Beijing in China) | Illunina Miseq | 44 μg-PM2.5/m3 63 μg-PM10/m3 | All season | ● (78.9) | ● (19.4) | [66] |
대부분 시료의 곰팡이는 Ascomycota(자낭균류)와Basidiomycota(담자균류) 문에 속하였다. 시료 종류에 따라Ascomycota와 Basidiomycota 비율에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Table 10의 결과를 이용하여Ascomycota와 Basidiomycota의 상대적 우점도의 분포 및평균값과 중간값을 계산하였다(Fig. 9). Ascomycota의 상대적 우점도의 평균값과 중간값은 각각 67.9 ± 26.3% 및 78.9%이었고, Basidiomycota의 우점도의 평균값과 중간값은20.3 ± 23.3% 및 9.7%이었다.
에어로졸과 PM 시료의 곰팡이 우점종은 시료를 채취한지역과 계절 및 대기오염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주요우점종은
중국 Xi'an의 산지에서 계절별로 PM2.5 시료를 채취하여우점 곰팡이를 분석한 결과, 봄과 여름의 우점종은 각각
Qi
AM 메타게놈의 미생물 종류 및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크게 기후적 인자, 지역적 인자, 환경오염 인자 및 생물적 인자로 구분할 수 있다[1, 3, 4]. 기후적 인자에는 습도,기온, 풍향, 풍속, 강수량 및 태양 복사 등이, 지역적 인자에는 지리적 위치, 고도 및 토지이용도 등이 포함된다. 환경오염 인자에는 SOx, NOx, CO, O3 및 PM 농도 등이, 생물적 인자에는 세균과 세균, 곰팡이와 곰팡이, 그리고 세균과 곰팡이 사이의 상호작용 등이 포함된다.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차이에 따라 세균과 곰팡이 농도 차이가 100배 이상 생기는데[113], 채취 시료 주변의 다양한 환경과 미생물 공급원이AM의 농도와 활성 차이를 유발한다. 또한, 대기 중 세균의농도는 인간의 활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대기 중 세균 농도의 일일 변화를 조사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출퇴근 시간인 오전 7시에서 9시 사이와 오후 5시에서6시 사이 세균 농도가 가장 높고, 오후 1시에서 2시 사이에세균 농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114-116]. AM의메타게놈 특성에 미치는 기후적 인자와 환경오염 인자의 영향을 아래 절에 보다 자세히 정리하였다.
햇빛 강도, 온도 및 일사량은 바이오에어로졸의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 햇빛이 있는 주간의 곰팡이 농도는 야간보다높은 경향이 있으며, 햇빛은 곰팡이의 종 풍부도를 높이는데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7]. 기온은 바이오에어로졸의 생장과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12]. 기온과 바이오에어로졸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지리적 위치 및 특정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바이오에어로졸을 구성하는 미생물 종의 차이에 따라 기온을 비롯한 기후적 인자들에 대한생리적 내성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67] 바이오에어로졸의거동과 기후적 인자의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기 매우 어려워진다. 특정 기상 조건에서 기온은 바이오에어로졸의 농도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43, 118].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바이오에어로졸의 세균과 곰팡이의 다양성과 기온사이에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67, 119] 혹은 통계적으로유의하지 않은 상관관계를 보였다[44, 45].
일반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서 바이오에어로졸의 종풍부성이 높은 경향이 있는데, 이는 풍부한 태양 에너지와물이 있는 환경이 AM의 생리적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종 풍부도가 증가한다고 추정되고 있다[4]. 그런데, 춥고건조한 환경은 미생물 특히 세균 생장에는 불리한 조건이므로[120], 바이오에어로졸의 종 풍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4]. 겨울의 매우 낮은 온도는 세포막의유동성을 감소시키고 세균의 활성을 저하시킨다. 세균의 최소 생장 온도는 세포막의 지방산 조성에 따라 크게 달라질수 있다. 봄에 기온이 상승하게 되면 미생물의 증식이 촉진되지만, 여름에는 고온과 강한 자외선으로 인해 세균의 생장이 저해 되거나 사멸되기 때문에, 고온과 자외선은 대기 중세균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117, 119, 121, 122]. 그런데 곰팡이와 포자는 대기의 극한 온도 범위와 자외선 조건에서도 생존 할 수 있다. 인도의 Jodhpur지역에서 여름에채취한 에어로졸 시료의 우점종은
많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기온과 세균 및 곰팡이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높은 온도는 곰팡이 포자에 대한 최적의 조건이지만, 낮은 온도는 곰팡이 발생의 제한 요소로 보고하였다[1, 128-130]. 그러나, 기온과 세균의 다양성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보고도 있다[131-133]. PM2.5 농도가 300 µg/m3 이상일 때 AM과 기온 사이에 음의 상관성을 보이는데, 이는 고온이 독성 화합물의 방출을 촉진하고 PM내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을 촉진하기때문으로 추정되고 있다[37, 127].
기온은 곰팡이 종 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 인자인데, 고온은 전도성 공기의 이동을 가속화하고 곰팡이의 생장및 대기로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다[1, 134]. 일부 연구에서는 포자 수준과 고온 사이에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126, 135, 136].
상대습도는 주어진 온도에서 물의 평형 증기압에 대한 수증기 분압의 비율이다. 상대습도는 AM 농도, 다양성, 군집구조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온도와 함께 그 영향이 더크게 작용하기도 한다[4, 12, 110]. 일반적으로 세균과 곰팡이의 농도와 활성은 상대 습도와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세균의 생장은 상대 습도 65% 전후에서 최적이었고, 상대 습도가 너무 높으면(95% 이상) 대기 중 세균의 분산이 저해 받고, 상대 습도가 너무 낮으면 세균 생장이 억제되었다[121].
곰팡이는 상대습도가 감소할 때 곰팡이 포자 방출이 증가하였다[12]. 일부 연구에 의하면 곰팡이는 65-85% 상대 습도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137]. 그런데, 상대습도가너무 높으면 대기 중 곰팡이의 분산이 억제되기 때문에 습도와 곰팡이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기도 하였다[45, 119]. Qi
풍향과 풍속은 건조 포자의 방출 및 재현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142], 미생물의 부유를 촉진하여 AM의 농도와 종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12, 33, 143, 144]. 그러나, 바람은 대기 희석 효과로 AM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45, 67, 144-146]. 풍속과 AM의 상관관계에 대한 서로 상반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지역, 미생물 공급원 및 기타 요인 등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147-152].
강우는 바이오에어로졸의 생장, 크기 및 농도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의 하나이다. 비가 내리고 있는중이나 내린 직후에는 대기 중 PM의 크기가 감소하여 구름응결 핵으로 작용하거나 얼음 핵이 되어 PM 형성이 더욱 더활성화된다[153-155]. 크기가 작아진 PM은 더 먼 지역으로이동할 수 있으므로 대기 중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진다[118]. 또한, 강수 현상으로 인해 지상으로부터 대기로 바이오에어로졸의 방출이 활발해 질 수 있다[155-158]. 그러나비가 내리면 바이오에어로졸의 습식 침적으로 인해 대기 중바이오에어로졸 감소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66, 150].
대기 오염 물질은 세균 군집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이다[49]. 대기질이 우수하거나 양호할 때는 대기오염이아주 심하지 않을 때보다 미생물 활성이 높았으나, 대기질이악화 되면 미생물 활동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66].일산화탄소,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및 오존 등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은 농도에 따라 바이오에어로졸에 영향을 미친다.여러 종류의 대기오염물질 간 상호작용은 AM 농도에 영향을 미쳤다[159]. 속 수준에서 미생물의 상대적 풍부함은 일산화탄소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44], 이산화황 농도와 AM 다양성 사이에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44, 67].이산화질소는 다른 대기환경 요인보다 세균 농도에 더 많은영향을 미쳤다[64]. 세균의 군집 구조에 미치는 이산화질소의 영향은 거의 적었고,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44, 64].오존은 곰팡이의 종 풍부도와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이다. 산화능이 강한 오존 농도와 AM 농도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지만[44, 45, 64], 일부 연구에서는 오존 농도와 세균의 OTU 수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기도 하였다[44]. 이와 같이 오존의 영향을 약화시키는 기타 요인이 있는 경우 오존 농도와 곰팡이 다양성 사이에 다양한 상관관계가 보일 수 있다[69]. 황, 질소 및 탄소는 생명의 기본 요소이기 때문에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및 일산화탄소가 AM의 영양원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들이 황산과 같은 독성 오염 물질을 생성하여 AM의 생장을 억제할 수도 있다[67]. AM의 거동과 메타게놈 특성은 대기 중 PM의 크기및 농도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AM은 주로 크기가 큰 PM의형태로 분포되어 있고[41, 160], PM10 중 미생물 함량은PM2.5 보다는 높았다[127]. 그러나, PM2.5의 병원성 세균함량은 PM10의 병원성 세균 함량보다 높았다[60, 161]. Chen
PM 농도와 곰팡이 군집 다양성 사이에는 일관된 상관 관계가 보이지 않아, 일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촉진할수 있으며 따라서 군집 조성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164]. PM2.5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균의 종 풍부도와 다양성이 낮아졌다[165, 166]. PM2.5에 함유된 미량 금속, 수용성 음이온과 양이온은 PM2.5의 미생물 군집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67]. 수용성 이온 물질인 SO42- 및 NO3- 은 미생물의생존과 생장에 필요하지만[112], Zn, Pb, As 및 Cu 등과 같은 중금속은 미생물에게 독성이 될 수 있다[3]. 예를 들면, 안개가 자욱한 날 PM2.5의 중금속 농도는 안개가 없는 날보다 약 2.5-3배 더 높은데[168], PM에서 방출되는 중금속은활성 산소종(ROS), 특히 수산기(hydroxyl radical; HO-)의생성을 촉진하여 세포에 광범위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169]. 따라서, PM이 증가하면 PM에 부착된 유독성 화학 물질도 증가하여 그 독성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안개가 자욱한 날 다른 미생물 개체군의 과도한 성장은 다른 곰팡이 군집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안개가 없는 날에는 다른 종류의 미생물 사이 경쟁이나 저해 작용이 낮아져 군집내에서 다양한 종이 공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중 PM의독성 화학 성분이 공기 중 곰팡이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향후 연구에서 규명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외 대기 환경의 바이오에어로졸 혹은 PM시료의 세균과 곰팡이 메타게놈 특성을 정리하였다. 시료 채취 지역 및 환경 조건 특성별 대기 중 세균과 곰팡이 농도를요약 정리하고, 에어로졸과 PM 시료의 세균과 곰팡이의 메타게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비배양법 기반 분석방법을 정리하였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의 메타게놈 특성과 다양성 및특성에 미치는 환경 인자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대기 중 미생물의 생존, 생장과 분산은 지역 기상 조건 및 대기 오염 물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AM 농도는 증가하지만, 여름에는 고온과 강한 자외선의 영향으로 AM 농도가 감소하였다. 습도와 미생물 농도는양의 상관성을 보이나, 습도가 너무 높으면 AM의 분산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었다. 강우 기간 동안과 그 이후에는 지상으로부터 바이오에어로졸의 방출이 촉진되고 생장도 증가되며, 풍속과 풍향은 바이오에어로졸의 대기 중 이동에 크게영향을 미친다. 오존,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및 일산화탄소등과 같은 대기오염물질과 미생물의 종 다양성은 상당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환경요인들의 영향 메커니즘은 완전히 명확하지 않으므로 향후 AM에 대한 상대적인 연구가더 많이 수행되어야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비배양 의존 방법을 이용하여 AM의 메타게놈 특성 연구를 위해서는, 에어로졸 혹은 PM 시료를 채취하고, DNA를추출하여 증폭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시료 채취 방법에 따라 메타게놈분석 결과의 차이가 있고, DNA 추출 방법과 증폭에 사용하는 primer의 종류는 AM 메타게놈 분석 결과에 영향을 크게미치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보다 많이 진행되어 분석 방법론이 AM 메타게놈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 시료 특성에 따른 AM 메타게놈 분석방법을 표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 대기 오염 물질과 함께 바이오에어로졸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는 지속 가능한 사회 및 도시의 발전을 이끌 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특히 PM2.5 농도와 PM2.5 중 미생물 메타게놈 분석 정보는 이들로 인한 건강 위해성을 예측하고 예방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외 대기 환경의 바이오에어로졸 혹은 입자상물질의 미생물 메타게놈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및 환경 인자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시료 채취 지역 및 환경 조건 특성별 대기 중 세균과 곰팡이 농도를 요약 하고, 에어로졸과 PM 시료의 세균과 곰팡이의 메타게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비배양법 기반 분석방법과 메타게놈 특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의 메타게놈 특성과 다양성 및특성에 미치는 기상 인자와 환경 인자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대기 중 미생물의 생존, 생장과 분산은 지역 기상 조건및 대기 오염 물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일반적으로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AM 농도는 증가하지만, 여름에는 고온과 강한 자외선의 영향으로 AM 농도가 감소하였다. 습도와 미생물 농도는 양의 상관성을 보이나, 습도가 너무 높으면 AM의 분산이 지연되었다. 이러한 종합적인 고찰 결과는대기권에서 미생물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이들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는 환경 및 공중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전략 수립 및 저감 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to Solve Climate Change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7 M1A2A2086515).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Eun Ju Oh, Joowon Park, and Jae Kyung Kim*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1; 49(2): 249-254 https://doi.org/10.48022/mbl.2010.10014Chang-Muk Lee , Sohyeon Seo , Su-Yeon Kim , Jaeeun Song , Joon-Soo Sim , Bum-Soo Hahn , Dong-Hern Kim and Sang-Hong Yoon
Microbiol. Biotechnol. Lett. 2017; 45(1): 63-70 https://doi.org/10.4014/mbl.1609.09007Yoon Ji Seok , Eun-Ji Song , In-Tae Cha , Hyunjin Lee , Seong Woon Roh , Ji Young Jung , Yoo Kyung Lee , Young-Do Nam and Myung-Ji Seo
Microbiol. Biotechnol. Lett. 2016; 44(2): 171-179 https://doi.org/10.4014/mbl.1601.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