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Microbiology (EM) | Microbial Ecology and Diversity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0; 48(4): 399-421
https://doi.org/10.48022/mbl.2008.08015
Kyung Suk C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Kyung Suk Cho, kscho@ewha.ac.kr
Remediating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human health but also for ecosystem sustainability. Of the available remediation technologies for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phytoremediation is a relatively low-cost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y which preserves biodiversity and soil fertility. The applica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PGPB) during the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can enhance plant growth against heavy metal toxicity and increase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sources of heavy metals that have adverse effects on microorganisms, plants, and humans, and the plant growthpromoting traits of PGPB are addressed and the research trends of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over the last 10 years a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PGPB inoculation methods on the performance of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are discussed. For the innovation of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PGPB and the interactions among plant, PGPB, and indigenous microorganisms in the field.
Keywords: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heavy metal, phytoremediation,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efficiency
지구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대기권, 수권 및 지각권은 인간을 비롯하여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특히, 인간은 토양에서 재배한 농작물을 주요한 식품으로 이용하기 있기 때문에 지각권을 구성하는 토양은 가장 중요한자연 자원이다[1]. 농작물의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한 비료, 살충제 및 제초제 등에 함유된 중금속은 생분해 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에 잔류 되어왔다[2, 3]. 또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중금속이 함유된폐수 및 폐기물로 인해 토양의 중금속 오염은 점점 심화되고 있다[4, 5]. 토양에 축적된 중금속은 식물에 의해 흡수되고, 먹이사슬에 의해 동물 및 인간 체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지구생태계내에서 생산자 역할을 담당하는 식물과 소비자인동물과 인간에게 악영향을 미친다[6]. 또한, 중금속은 분해자역할을 하는 토양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과 기능 변화를 야기할 수도 있다[7]. 이와 같이 중금속에 의한 토양 오염은 해당 서식지에 생존하고 있는 생명체 뿐 아니라, 거시적인 측면에서 탄소, 질소, 인 등과 같은 주요 물질의 생지화학적순환 및 지구 생태계 항상성 유지 기작에도 영향을 미칠 수있다.
중금속 오염 토양을 정화하기 위하여 추출법(extraction),열탈착법(thermal desorption), 토양세척법(soil washing),경작법(land-farming), 생물복원법(bioremediation) 및 식물상복원법(phytoremediation)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1]. 추출법과 열탈착법에 의한 토양 정화 비용은 각각240−813 $/m3 및 81−252 $/m3로 타 기술에 비해 처리 단가가 많이 높다[8, 9]. 토양경작법과 토양세척법의 처리 단가는각각 <100 $/m3과 71.4 $/m3로 평가되고 있다[9, 10]. 또한이러한 물리화학적 방법은 토성, 토양 비옥도 및 생물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1, 12]. 이에 비해 생물학적 방법인 생물복원법과 식물상복원법의 처리 단가는 각각 59.9 $/m3 및 19−78 $/m3로, 물리화학적 방법에 비해 저렴하다[8, 10, 13]. 특히, 식물상복원법은 환경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1, 14].
식물상복원법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 실험실 규모부터 현장 규모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 기술의 상용화 확대를 위해서는 식물 생장 및 중금속 제거 효율의 향상을 위한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1, 12]. 최근들어 중금속 독성으로 인한 식물 생장 저해 및 중금속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물생장촉진세균(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PGPB)을 식물상복원법에 활용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5, 16]. 이 방법에 의한 중금속 제거 효율성을 평가하여 식물상복원법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주요 토양오염물인 중금속의 발생원, 미생물· 식물· 인간에 미치는 중금속 영향 및PGPB의 식물생장촉진 기작을 정리하였다. 또한,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해 식물상복원법에 PGPB의 활용에 관한최신 연구 동향 및 관련 기술 혁신을 위한 향후 전망에 대해 고찰하였다.
중금속은 원자 밀도가 5 g/cm3 보다 큰 금속으로, 낮은 농도에서 사람을 비롯한 동물과 식물 모두에게 독성이 있는 환경에서 가장 위협적인 오염물질이 되고 있다[17, 18]. 토양뿐 아니라 물과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금속의 주요 발생원을 Fig. 1에 정리하였다. 중금속을 포함한 광석의 자연적인 풍화, 채광, 제련 과정, 금속 가공산업, 각종 산업폐기물, 제약·살충제 생산산업, 농업용 살충제 및 비료 사용 등이다[19, 20].
중금속은 그 자체가 생체물질과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대사과정에 악영향을 미치고, 또한 세포내에서 반응성 산소 화학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형성하여 산화적 독성반응을 야기한다[20−22]. 전이 중금속(transition metal)은unpaired 전자를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해 산소는 superoxide (O2−)로 된다(식 (1)).
중성 환경에서 superoxide는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하고 Haber-Wiss reaction에 의해 hydroxyl radicals(OH−)을형성한다(식 (2), (3)).
생명체에 대한 중금속과 이로 인해 생성된 ROS의 독성 기작을 Fig. 2에 도시하였다[22]. 이들은 유전물질인 DNA 구조 변형 등을 유발하고 세포내 DNA 손상의 수리(repair) 기작을 방해하여 돌연변이를 야기한다. 중금속과 ROS는 RNA를 가수분해(hydrolysis)하여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며, 단백질과 이온 채널을 저해하여 효소 활성을 억제한다. 중금속에 의해 생성된 ROS는 지질을 산화하여 세포막의 기능을 교란한다[22]. 미생물, 식물 및 인간에 미치는 중금속의 독성 영향을 Fig. 3에 정리하였다[20, 23−25]. 중금속은 미생물의 단백질 변성, DNA 복제(replication)·전사(transcription)·번역(translation) 기작 저해, 세포막 기능 교란, 세포분열 저해 및 단백질 활성 저해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24]. 식물의 중금속에 의해 필수 금속이온 부족, 세포막 교란, 전자전달계 저해 및 생장이 저해되는 영향을 받는다[20, 23]. 인간에 대한중금속 중독 현상은 두뇌, 소화계, 순환계, 신경계 및 생식계를 포함한 모든 신체 기능 저하 및 발암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25].
토양의 주요 오염원인 중금속 종류별로 화학적 특성, 농도, 식물과 인간에 미치는 영향 및 주요 배출원을 Table 1에요약 정리하였다[1, 15, 16, 20, 26−28]. 비소는 지구 지각을구성하는 물질 중 20번째로 많은 금속으로[29], 호기적인 환경에서는 +5가 산화가(AS(V))인 arsenate(AsO4)3− 로 주로 존재한다[16, 28]. Arsenate는 산성조건에서 Fe oxyhydroxides와착화합물을 형성하거나 침전물을 형성한다. 비소는 혐기적환경에서는 주로 수용성인 +3가(As(III))인 arsenite (AsO3)3− 로존재한다. 지각의 자연적인 풍화작용 등과 같은 자연적 배출원 및 페인트 및 살충제 제조업과 발전소 등과 같은 인위적배출원에 의한 식수원과 농경지의 비소 오염은 발암물질로심각하게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1].
Table 1 . Speciation, chemistry, toxicity and sources of heavy metals [1, 15, 16, 26-28].
Heavy metal | Oxidation state | Dominant/reactive forms in soil | Concentration in soil (mg/kg) | Toxicity to plants | Toxicity to humans | Major sources | |
---|---|---|---|---|---|---|---|
Detected range | Toxic level | ||||||
Arsenic (As) | -3, 0, +3, +5 | - Aerobic condition: As(V) is dominant (e.g.) arsenate (AsO4)3- - Reducing condition: As(III) is dominant (e.g.) arsenite (AsO3) 3- | 0.1-102 | 20 | Reduction of plant growth, Increase of lipid peroxidation, Decrease of amino acids and Fe concentrations, Inhibition of seed germination | Skin manifestation, cancers, vascular and dermal disease, gastrointestinal problem, respiratory damage | Timber treatment, paints, pesticides, geothermal/geogenic/natural processes, smelting operations, thermal power plants, fuel burning |
Cadmium (Cd) | 0, +2 | - High pH: Hydroxide (Cd(OH)2), carbonate (CdCO3) - Low pH (<8): Cd2+, aqueous sulfate species | 0.01-7 | 3-8 | Leaf chlorosis, Reduction of plant growth, Membrane degradation due to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hibi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 Degenerative bone disease, kidney damage, renal disorder, human carcinogens | Electroplating, batteries, fertilizers, Zn smelting, waste batteries, e-waste, paint sludge, incinerations & fuel combustion |
Chromium (Cr) | 0, +3, +6 | - Cr(VI): dominant and toxic form (e.g.) chromate (CrO42-), dichromate (Cr2O7-) at shallow aquifers - Cr(III): dominant form at low pH (<4) | 5-1000 | 75-1000 | Inhibition of seed germination, Reduction of plant growth, Deleterious effects on photosynthesis, water relations, and mineral nutrition, Increase of transpiration rate | DNA damage, carcinogens, allergy reaction, irritant dermatitis, gastrointestinal hemorrhage | Electroplating, alloy products, aircrafts, industrial coolants, electronics, leather tanning, dyes, pesticides |
Copper (Cu) | 0, +1, +2 | - Cu(II): the most toxic species (e.g.), Cu(OH)+, Cu2(OH)22+ - Aerobic alkaline condition: CuCO3 is dominant soluble species - Anaerobic condition: CuS(s) will form with sulfur | 2-100 | 60-125 | Induction of Fe deficiency, Reduction of plant growth, Increase of electrolyte leakage and peroxidase activity of shoot tissues, Decrease of chlorophyll content, Increase of lipid peroxidation | Liver damage, Wilson disease, insomnia | Fungicides, electrical, paints, pigments, timber treatment, fertilizers, mine tailings, electroplating, smelting operations |
Lead (Pb) | 0, +2 | - Pb(II): dominant and reactive form - Complexation with inorganic (Cl-, CO32-, SO42-, PO43-) and organic ligands (humic and fulvic acids, EDTA, amino acids) | 2-200 | 100-400 | Inhibition of seed germination, Reduction of plant growth, Reduction in chlorophyll, carotenoid contents, photosynthetic rate and CO2 assimilation | Damage to fetal brain, Kidney problem, affects the nervous system | Batteries, metal products, preservatives, petrol additives, paints, e-waste, Smelting operations, coal-based thermal power plants, ceramics, bangle industry |
Mercury (Hg) | 0, +1, +2 | - Alkylated form (methyl/ethyl mercury) depending on the pH - Oxidizing condition: Hg2+ and Hg22+ | 0.02-0.2 | 0.3-5 | Disturbance of cellular structure and metabolism, Reduction of plant growth and leaf pigment contents, Reduction in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synthesis | Blindness and deafness, brain damage, digestive problems, kidney damage, lack of coordination, mental retardation | Instruments, fumigants, geothermal, thermal power plants, fluorescent lamps, hospital waste, electrical appliances |
Zinc (Zn) | 0,+2 | - High pH: Zn is bioavailable - pH 7.0–7.5: Zn(OH)2 - Reducing condition: Co-precipitate with hydrous oxides of Fe and Mg | 10-300 | 70-400 | Reduction of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Leaf bronzing, Plant mortality, Chlorosis, Necrosis of mature leaves, Induction of Fe deficiency | Depression, lethargy, increased thirst | Dyes, paints, timber treatment, fertilizers, mine tailings, smelting, electroplating |
0가 혹은 +2가의 산화가를 가진 카드뮴은 pH 8 이상의 환경에서는 수산염(Cd(OH)2) 혹은 탄산염(CdCO3) 화합물로, pH 8보다 낮은 환경에서는 수용성 황산염 화합물의 형태로존재한다. 카드뮴은 광합성 작용 저해 등으로 식물 생장을억제할 뿐 만 아니라, 신장 질환 및 뼈가 연화 되어 변형 및골절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1].
크롬은 방부식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전자부품, 항공기 등의코팅제로 사용되거나, 가죽, 염료, 종이, 유리 등의 각종 제조업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1, 30]. 크롬은 0가, +3가 및 +6가의 산화가를 갖는데, 주로 환경 중에서 chromate(CrO42−)혹은 dichromate(Cr2O7−)로 독성이 높은 크롬(VI) 화합물의형태로 존재한다. 크롬(VI)은 식물의 증산작용 및 광합성을저해하고, 위장 장애, DNA 손상 및 암을 유발할 수 있다. 구리는 0가, +1가 및 +2가로 존재할 수 있는데, Cu(OH)+, Cu2(OH)22+과 같은 2가 구리화합물의 독성이 가장 크다. 구리로 오염된 토양은 식물의 구리 결핍 등의 성장 저해를 야기한다. 납은 0가 및 +2가 산화가를 가지는데, 특히 납(II)은염소, 탄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과 같은 무기물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Humic acid와 fulvic acid 등의 토양 유기물과결합한 형태로 토양에서 검출된다.
수은은 환경 중에서 methyl mercury 혹은 ethyl mercury등의 알킬화된 유기 수은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하며, 식물의세포 구조와 대사과정을 저해한다[1]. 유기 수은 화합물은 금속 수은보다 독성이 강하고 두통, 시력/언어/지각 장애 등의신경 장애를 야기할 수 있다. 0가 혹은 +2가의 형태로 존재하는 아연은 용접, 도금 및 전자제조업에서 작업자의 직업병을 유발 할 수 있으며, 식물의 철 결핍 현상을 유발하고 광합성을 저해한다.
토양에서 중금속은 일반적으로 bioavailability가 낮은 불용성 화합물로 존재한다[31]. 식물은 다양한 종류의 뿌리 삼출물(root exudate)을 체외에 생산하여 근권 토양의 pH를 변화시켜 중금속의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32]. 이렇게bioavailability가 높아진 중금속은 식물 뿌리 표면에 흡착되거나 뿌리세포의 세포막을 통해 식물 조직체 내부로 흡수될 수 있다[31]. 식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중금속 정화기작은 phytostalilization, rhizofiltration, phytoextraction및 phytovolatilization으로 구분된다(Fig. 4) [33, 34]. Phytostalization은 식물의 근권에서 중금속을 산화·환원 혹은 침전시켜 중금속의 bioavailability을 낮추거나 고정화시키는 것이다. Rhizofiltration은 토양수 혹은 지하수에 함유된 중금속을 식물 뿌리조직 외피에 존재하는 음성 전하를 가진 세포 외 잔재물에 흡착시키거나, 세포막에 존재하는 carrier단백질을 통해 중금속을 세포 내부에 흡수시키는 기작이다[35]. Phytoextraction은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중금속을 흡수하여식물 조직에 축적시키는 것이고, phytovolatilization은 식물 조직에 축적된 중금속을 가스상 중금속 화합물의 형태로 대기 중으로 휘발시켜 제거하는 기작 이다.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중금속을 흡수하여 뿌리 등의 식물조직체에 축적할 수 있는 능력은 생물농축인자(Bioconcentration factor, BF)로 비교 평가되는데, BF 값은 다음의 식 (4)에 의해 계산한다[36, 37].
여기서, Cp, 식물조직내 중금속 농도; Cso, 토양 중 중금속 농도.
또한, 식물이 지하부 뿌리로 흡수한 중금속을 잎 등의 지상부 식물조직으로 수송하여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식물조직내에서 중금속을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은 수송인자(translocation factor, TF)로 비교 평가된다. TF 값은 뿌리조직내 중금속 농도 대비 지상부 식물조직내 중금속 농도 비율로 계산한다[36, 37].
여기서, Cp, 뿌리내 중금속 농도; Cso, 지상부 식물조직내 중금속 농도.
일반적으로 BF 값과 TF 값이 1보다 큰 식물종은phytoextraction에 적합하고, BF 값은 1보다 크지만 TF 값이 1보다 작은 식물종은 phytostabilization에 적합하다[34].
그런데, 중금속에 의해 식물 생장과 활성이 저해를 받기때문에, 식물상복원법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 위해서는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PGPB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PGPB에 의한 식물생장촉진 기작을 Table 2에 정리하였다. 질소고정세균은 대기 중의 질소를 식물이 흡수 가능한 질소화합물의 형태로 고정화하여 식물 생장에 필요한macronutrient 중 하나인 질소를 제공할 수 있다. 질소고정세균은 식물과 공생관계를 형성하는
Table 2 . Overall benefic mechanisms of plant-growing promoting bacteria on plants.
Mechanisms | Effects on plants and heavy metal dynamics | Representative microorganisms and References |
---|---|---|
Improvement of uptake of nutrients | - Enhancement of the availability of macronutrients (N, P, K) - Increase of the availability of micronutrients (Fe, Mn, Zn, Si) | - Symbiotic N2 fixing: - Free living N2 fixing: - Increase of P uptake: - K-solubilzation: - Zn-solubilzation: - Si-solublization: |
Solubilization of insoluble phosphate | - Enhancement of P availability to plants -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by the formation of insoluble metal phosphates - Reduction of heavy metal uptake and translocation | - - - - |
Production of organic acid | - Provided benefits in acquisition of nutrients - Formation of complexes with heavy metals - Provided tolerance to toxic metals due to formation of metal-oxalate crystals | - - - |
Production of ACC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 - Decrease of stress-induced ethylene production - Promoted root growth - Increase of uptake of nutrients | - - - |
Production of phytohormones | - Alleviated the metal induced-stress - Promoted absorption of nutrients and metals by proliferating plant roots - Stimulated antioxidant enzymes - Increased the availability of nutrients - Decreased the availability of heavy metals by chelating agents present in root exudates (bacterial IAA-mediated increase of root exudates) | - IAA (Indole-3-acetic acid) production: - Gibberellic acid production: - Cytokines production: |
Production of siderophores | - Provided nutrients particularly Fe to metal-stressed plants - Improvement of plant growth - Reduction of heavy metal uptake | - Fe providing: - Improvement of Fe uptake: |
Production of biosurfactants and exopolymers | - Increase of heavy metals tolerance and metal removal efficiency -Bound preferentially toxic metals | - Exopolysaccharides production: - Surfactants production: |
Decreased of heavy metals uptake by plants | - Conversion of bioavailable heavy metals into inert species - Change of the speciation of heavy metals from bioavailable forms to non-bioavailable ones - Biosorption, bioaccumulation and sequestration of heavy metals | -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 Biosorption of heavy metals: - Sequestration of heavy metals: |
Change of heavy metals speciation | - Reduction of heavy metals toxicity | - Reduction of Cr6+ to Cr3+: |
Induced production of antioxidant enzymes by plant | - Enhancement of tolerance to environmental stress | - - - - |
불용성 인산염 화합물을 가용화 시킬 수 있는
PGPB에 의해 생산된 유기산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영양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49]. 또한, 이러한 유기산은 중금속과 복합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데, 특히 metal-oxalate결정물로 되면 독성도가 낮아진다[49]. 대표적인 유기산 생성 세균으로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는 식물 스트레스 호르몬인 ethylene의 전구물질인데[52, 53], PGPB 중에서 ACC를 암모니아와 2-oxobutanoate로 분해하는 ACC deaminase를 생산하는 세균이 있다[54]. ACC deaminase를생산하는 세균은 식물 뿌리 생장을 촉진하고 식물에 의한 영양분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49, 55]. 대표적인 ACC deaminase를 생산하는 세균으로
PGPB 중 일부는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phytohormone을생산할 수 있다. Phytohormone을 생산하는 세균은 식물에대한 중금속의 독성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뿌리 생장을촉진하여 영양분과 중금속 흡수를 향상시키고, 식물의 항산화 효소 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49, 55]. 대표적인phytohormone인 Indole-3-acetic acid (IAA)을 생산하는 세균은
철은 모든 생명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미량영양분이나,호기적인 토양 환경에서 철은 hydroxides 혹은 oxyhydroxides와 같은 bioavailability가 매우 낮은 불용성 철화합물로 존재한다[63]. 미생물은 철과 매우 높은 친화력을 가진 저분자킬레이터(chelator)인 siderophores를 분비하여 환경으로부터 철을 획득할 수 있다[49, 55]. Siderophores을 분비하는
세포 외부에 다당류와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세균의 공존은 중금속에 대한 식물의 내성을 증가시키고 중금속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49, 55]. 다당류를 생산하는 PGPB로
PGPB 중에서 생물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중금속화합물을 불활성 화합물 혹은 생물학적으로 이용 불가능한 중금속으로 변환하거나, 세균의 세포 표면 혹은 내부로 중금속을흡착·흡수하여 식물에 의한 중금속 흡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49, 55]. 이러한 기능을 가진 PGPB로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해 식물을 이용한 식물상복원법에 PGPB를 활용한 사례 중 최근 10년간 진행된 연구동향을 Table 3−6에 정리하였다. 전세계적으로 수 백만명 이상의 사람이 비소로 오염된 경작지와 식수 등으로 인해 비소독성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2]. 특히, 유럽, 멕시코,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인도, 중국 등에서는 비소 오염이 광범위하게 발견되고 있다[82]. 국제암연구기구(International Agency of Research on Cancer, IARC), 국제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및 미국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등은 비소를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83].
Table 3 . Plant-growing promoting bacteria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of As-contaminated soils.
Heavy metal conc. (mg/kg) | PGPB | Plant growth-promoting trait | Plant | Effect of PGPB | References |
---|---|---|---|---|---|
4.4-46.3 | - Siderophore | - Increase of plant growth - Enhancement of phytoremedition performance | [84] | ||
300 | - IAA - Siderophore | - Promotion of phytoremediation performance | [85] | ||
10 | - IAA - Siderophore - ACC deaminase | - Increase of biomass, carotenoid, chlorophyll and protein content - Increase of As accumulation in the root | [86] | ||
10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 Enhancement of plant growth - Decrease of As toxicity | [87] | ||
100 | - IAA - P solubilization - EPS | - Increase of As uptake - Increase of shoot and root biomass | [88, 89] | ||
18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 Increase of plant growth | [90] | ||
10 | - IAA - Siderophore - EPS | - Promotion of plant growth | [91] | ||
41, 138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 Promotion of plant growth - Increase of As uptake | [92] | ||
13 | -As tolerance | - Enhancement of As volatilization | [93] | ||
11 | - As mobilization by the oxidation of As(III) to As(V) | - Increase of plant biomass, and As accumulation in plant | [94] |
IAA, Indole-3-acetic acid; EPS, exopolysaccharide; ACC deaminase,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Table 4 . Plant-growing promoting bacteria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of Cd-contaminated soils.
Heavy metal conc. (mg/kg) | PGPB | Plant growth-promoting trait | Plant | Effect of PGPB | Ref. |
---|---|---|---|---|---|
65.2 | - IAA - ACC deaminase | - Enhancement of root growth and Cd accumulation in root and leaf | [97] | ||
20 | - IAA - Siderophore - ACC deaminase | - Increase of Cd accumulation in root | [98] | ||
25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 Enhancement of growth and Cd uptake | [99] | ||
35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 Increase of biomass and Cd uptake | [100] | ||
100 | - Cd tolerance - Root enlongation | - Enhancement of Cd accumulation in root and shoot [101] | |||
30 | - IAA - HCN - Siderophore - ACC deaminase | - Enhancement of plant growth and Cd accumulation in root | [74] | ||
80 | - P solubilization - EPS -Auxin | - Increase of Cd uptake | [102] | ||
500 | - IAA - Siderophore - ACC deaminase | - Increase of root and shoot length, plant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s | [103] | ||
3 mg/L | - IAA - Siderophore - ACC deaminase - N2 fixation | - Reduction of oxidative stress, stress ethylene and Cd uptake in rice seedlings - Increase of rice seedling growth | [104] | ||
60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EPS - HCN | - Increase of chlorophyll contents,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 Increase of plant fresh and dry weight | [105] |
IAA, Indole-3-acetic acid; EPS, exopolysaccharide; ACC deaminase,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Table 5 . Plant-growing promoting bacteria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of Cr-contaminated soils.
Heavy metal conc. (mg/kg) | PGPB | Plant growth-promoting trait | Plant | Effect of PGPB | Ref. |
---|---|---|---|---|---|
67.5 | - IAA - Siderophore | - Increase of nodulation and seed yield - Enhancement of plant growth | [106] | ||
136 | - EPS | - Bacterial biofilm on plant root acts as a shield in preventing the direct access of toxic Cr to plant tissues, thus reducing its uptake in plants | [107] | ||
6 | N.D. | - Enhancement of growth and Cr uptake | [109] | ||
35 |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N2 fixation - Produc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 - Enhancement of plant growth and yields | [110] | ||
30.46 | - Cr(VI) reduction | - Increased of plant height, root length, fruit weight and number of fruits per plant - Decrease of Cr concentration in soil | [112] | ||
100 | - ACC deaminase - N2 fixation | - Increase of seed germination and yield | [108] | ||
50, 100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K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 Improvement of plant growth - Improvement of N, P and K uptake | [111] |
IAA, Indole-3-acetic acid; EPS, exopolysaccharide; ACC deaminase,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N.D., not determined.
Table 6 . Plant-growing promoting bacteria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with Cu, Pb or Zn.
Heavy metal conc. (mg/kg) | PGPB | Plant growth-promoting trait | Plant | Effect of PGPB | Ref. |
---|---|---|---|---|---|
Cu, 35 |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N2 fixation - Produc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 - Enhancement of plant growth and yields | [110] | ||
Cu, 687 | - Siderophore | - Increase of Cu uptake | [113] | ||
Pb, 800 | - IAA - Lowering pH of soil | - Increase of plant growth, biomass and Pb accumulation | [114] | ||
Pb, 300-900 |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Phytohormones | -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proline, plant yield and growth | [115] | ||
Zn, 500 | - IAA - Lowering pH of soil - Supplement of P and Fe | - Increase of root and shoot biomass - Increase of Zn accumulation in root and shoot | [116] | ||
Zn, 1500 | - IAA - Siderophore - ACC deaminase | - Improvement of N and P uptake - Increase of chlorophyll content - Enhancement of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 [81] | ||
Zn, 400 | - Metal chelation | - Increase of root growth and Zn accumulation | [117] |
IAA, Indole-3-acetic acid; EPS, exopolysaccharide; ACC deaminase,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비소로 오염된 토양의 식물상정화법에 PGPB의 활용 효과를 연구한 결과를 Table 3에 정리하였다. 고사리(
Yang
카드뮴은 농경지와 산업단지 토양의 주요 오염 중금속으로[95], 특히 카드뮴으로 오염된 농경지에서 재배된 작물은이를 소비하는 인간에까지 카드뮴 중독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96]. Prapagdee
IAA와 siderophore을 생산하고 ACC deaminase 활성을가진
벼과 식물인 큰개기장(
옥수수(
크롬은 다양한 산업과 화학공정에서 사용되는 중금속으로, 산화가가 6가인 Cr(VI)는 맹독 중금속이다. IAA와siderophore를 생산할 수 있는
크롬이 고농도로 함유된 가죽공장폐수로 인해 오염된 토양에서 옥수수(
Maqbool
구리, 납 혹은 아연으로 오염된 토양의 식물상복원법에서PGPB 활용 사례를 Table 4에 정리하였다. 구리 오염 토양에 식물생장촉진 특성을 가진
식물 생장 향상 능력이 있는
아연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돌나물과 다년생풀인 민밀똥비름(
실제 중금속 오염 토양은 여러 종류의 중금속이 혼합된 상태로 오염되어 있으므로, 2종 이상의 혼합 중금속 오염 토양을 대상으로 식물상복원법에 있어 PGPB 활용에 대한 연구사례를 Table 5에 정리하였다. 비소와 수은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갓(
돌나물과 식물인 세둠(
Siderophore, 계면활성제 및 저분자의 유기산을 생산할 수있는
카드뮴, 구리, 니켈 및 아연 4종 복합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서양겨자(
농업에서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이면서 가장 검증된 방법이 화학비료의 사용이다[15].따라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식물상복원법에서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화학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화학비료 사용으로 인한 2차환경오염문제 뿐 아니라 식물 생장 촉진이 중금속 제거 효율 향상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에, PGPB 활용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Phytoremediation에 활용되는 PGPB는 식물 생장 촉진 활성도 중요하지만, 토양 환경에 도입할 시 토성, 기온, 수분함량 등과 같은 무생물인자와 식물 종류, 식물뿌리 및 토양에 토착하고 있는 미생물 등과 같은 생물인자에 영향을 받는 환경 조건에서 생존하고 군락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127]. 예를들어,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PGPB는 중금속에 어느 정도 내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식물뿌리 근권 혹은 비근권 토양의 토착미생물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군집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하며, 중금속과 킬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는 siderophore를 생산하거나 phytohormone인 IAA를 생산하거나 ACC deaminase 활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PGPB가 식물 근권토양에서 군집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128]. 또한, 일부 PGPB은 실험실 혹은 온실 실험 조건에서는 식물생장촉진 활성을 보이나, 현장 토양 조건에서는 활성이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인산염 가용화 활성을보유한 PGPB를 실제 토양 환경에 적용한 경우에는 인산염가용화 활성이 확인되지 않았다[129].
PGPB를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식물상복원법에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생물인자와 생물인자에 의한 스트레스 환경하에서도 식물 생장과 중금속 제거 효율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를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엄격하게 검증해야 한다. 첫째, PGPB를 적용할 중금속 오염 토양의 현지정보를 수집하거나 정보가 불충분할 경우 직접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염 중금속 종류 및 농도, 토성을 비롯한 토양 환경 특성 및 대상 지역의 기후 조건 등에 정보를 수집한다. 둘째, 현지 조건에 적합한 식물종과 PGPB를 선별한다.기후와 토양 조건에 서식 가능한 식물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선정한 식물은 물론 기후 및 토성 조건에 적합한 PGPB를 선별한다. 여러 종류의 PGPB로 이루어진 컨소시움으로제공할 경우, PGPB 균주 사이의 상호관계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토양 환경 혹은 식물 조직체 내부에서 PGPB 거동은 생물학적 혹은 미생물학적 요소에 의해 좌우된다. 즉, 기후인자(기온, 강우량, 햇빛 강도 등), 토양 특성(토성, pH, 수분함량,유기물함량 등), 토양 관리(경작 여부, 비료 사용량, 살충제/제초제 사용량 등), 식물 특성(종류, 발달단계, 뿌리삼출물 등),섭식자 존재(nematodes, protozoa 등), 타 미생물 군집(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등은 PGPB의 거동에 직간접으로영향을 미칠 수 있다[127, 131−133]. 예를 들면 PGPB인
PGPB를 접종하는 방법에 따라 토양에서의 PGPB의 군집형성과 거동에 차이가 생길 수도 있다. PGPB 접종 방법은식물 종자 코팅법, 모종 뿌리 토양에 PGPB 용액 주입법, PGPB를 고정한 담체에 고정·건조한 후 토양 주입법 등이 있다[137]. PGPB를 식물에 직접 주입하는 경우와 PGPB 고정담체 주입한 경우 토양에서의 PGPB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17%의 차이가 있었다[138].
중금속 오염 토양의 식물상복원법에 있어 PGPB 활용에대한 연구는 대부분 실험실 혹은 온실 실험을 통해 식물 생장 특성, 식물조직체내 중금속 축적 및 토양 중 중금속 제거효율 등을 평가하여 PGPB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식물복원과정에서 PGPB을 접종한 이후 식물 조직 내부, 근권 토양혹은 토양 중에서 PGPB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군락을 형성하는지, 토양에 자생하고 있는 미생물들에 의해 어떤 영향을받고 상호관계를 형성하는지 등 식물 조직 내부 혹은 토양에서의 PGPB의 거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Table 7에 PGPB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주요 방법의 특성및 검출한계를 정리하였다. PGPB 모니터링 방법은 크게 핵산분석법, 면역법 및 기능성 유전자 분석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핵산분석법은 PCR 비의존 방법과 PCR 의존 방법이있는데, Fluorescent
Table 7 . Plant-growing promoting bacteria (PGPB)-assisted phytoremediation of the contaminated soils with the mixed heavy metals.
Heavy metal conc. (mg/kg) | PGPB | Plant growth-promoting trait | Plant | Effect of PGPB | Ref. |
---|---|---|---|---|---|
As, 41 + Hg, 67 | - IAA - Siderophore - Mineral solubilization - Proteases - Exopolysaccharides - N2 fixation | - Positive effect on plant biomass | [118] | ||
Cd, 2.2 + Pb, 895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HCN | - Improvement of biomass and nodules number - Enhancement of phytoremediation | [119] | ||
Cd, 5.9 + Zn 736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Improvement of metal uptake by plant | [75] | ||
Cd, 0.1 mM + Zn, 1 mM | - IAA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N2 fixation | - Improvement of plant growth - Decrease of metal-induced stress | [120] | ||
Cd, 20 + Cu, 500 + Zn, 500 | - Siderophore -Biosurfactants -Organic acids | - Improvement of Cd, Cu and Zn uptake | [50] | ||
Cd, 4.9 + Pb 98.5 + Zn, 608.2 |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Chlorobi | - IAA - Siderophore - ACC deaminase | - Increase of metals uptake | [121] | |
Cd, 25 + Pb, 200 + Zn, 500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 Enhancement of plant growth and Cd, Pb, Zn uptake | [47] | ||
Cd, 50 + Pb, 200 Zn, 200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 Increase of plant dry weight and metal uptake in root and shoot | [122] | ||
Cd, 32 + Cu, 60 + Ni, 150 + Zn, 926 | - IAA - ACC deaminase | - Increase of plant biomass - Increase of Cd accumulation | [123] | ||
Cd, 11.7 + Cu, 5.8 + Cr, 128.2 + Zn, 90.6 + | - IAA - ACC deaminase - EPS | - Enhancement of plant growth and nutrient availability | [124] | ||
Cd, 20 + Cu, 589 + Pb, 1223 + Zn, 534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 Increase of plant growth and metals uptake | [125] | ||
Cd, 46 + Cu, 29 + Pb, 790 + Zn 4131 | - IAA - Siderophore - P solubilization - ACC deaminase | Increase of photosynthetic rate, glutathione and phytochelatin (PC) contents | [126] |
IAA, Indole-3-acetic acid; EPS, exopolysaccharide; ACC deaminase,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토양 혹은 식물 시료에서 DNA를 추출하고, PCR로 DNA시료를 증폭한 후, denaturant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mplified ribosomal DNA restriction analysis (ARDRA) 등과 같은 DNA fingerprinting 방법으로 PGPB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145]. 유채를 이용한 카드뮴 오염 토양 정화 효율 향상을 위해 접종한 PGPB
고속염기서열 분석법은 접종한 PGPB을 포함하여 전체 미생물 군집 거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95, 152]. 복합 중금속(Cu, Pb, Cd, Zn, As, Mo 등) 오염 토양을 갓(
Table 8 . Methods for tracking and monitoring of Plant-growing promoting bacteria (PGPB) [127].
Method | Characteristics | Detection limits | References | |
---|---|---|---|---|
Nucleic acid based | Fluorescent | - Probe hybridization - Fluorescence microscopy - - Semi-quantitative - Low resolution in small cells | 102 CFU/mm2 | [140] |
DNA Fingerprinting (DGGE, T-RFLP, ARDRA, etc) | - Inexpensive - Qualitative - Laborious | Not applicable | [145] | |
Quantitative PCR (qPCR) | - Qualitative - High number of target sequences - Unaffected by cell size | 102 CFU/g | [148] | |
High-throughput sequencing | - Qualitative and semi-quantitative - Unaffected by cell size - High resolution and sensitivity - Expensive equipment (sequencer) | 101-102 CFU/ml | [95, 152] | |
Immuno based |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 - Enzyme reaction - Easy to use - Inexpensive - Semi-quantitative | 102 CFU/ml | [154] |
Immunofluorescence | - Fluorescence microscopy - - Semi-quantitative | Single-cell detection | [155] | |
Immunoblot | - Probe hybridization - Qualitative - Time consuming - Laborious - Expensive | Not applicable | [156] | |
Functional gene | β-galactosidase ( | - Plate and indigenous bacteria with β-D-galactosidase activity - Culture dependent quantification - | 103-105 CFU/g | [161, 162] |
β-glucoranidase ( | - Culture dependent quantification - Substrate dependent - - Semi-quantitative - Endophytic detection | 103-105 CFU/g | [163] | |
Bacterial luciferase ( | - Culture dependent quantification - Substrate and metabolism dependent - - Semi-quantitative - No endogenous and indigenous activity - Inexpensive substrate | 103-104 CFU/cm | [164, 165] |
DGGE, Denaturant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T-RFLP,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RDRA, amplified ribosomal DNA restriction analys.
항원-항체반응 기작을 이용하는 면역적 검출법도 PGPB의 모니터링에 활용되었다[154−156]. 형광 발광 기반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사용하여 밀의 근권 토양 추출물 시료에서
β-galactosidase (
Table 7에 제시한 바와 같이 PGPB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지만, 토양 혹은 식물 시료 존재시 간섭효과, 측정값 오류 및 재현성이 낮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실제 현장 토양 조건에서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127]. 따라서, 식물생장촉진 활성을 보이는 기능성 유전자인 질소 고정 유전자(
중금속 오염 토양을 식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식물상복원법에서 PGPB의 활용 효과는 식물생장촉진과 중금속 제거 효율 향상 측면에서는 많은 연구결과가 축적되고 있다.중금속 오염 토양은 여러 종류의 중금속이 혼재되어 있을 뿐아니라, 유류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과 같이 유기성 물질과 함께 존재하는 경우도 많다. PGPB은 이러한 유기성 오염물질을 생분해 할 수 있으므로, 중금속-유기물 복합 오염 토양의 식물상 복원 과정에서 PGPB의 역할을 보다 더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앞으로 식물과 PGPB의 시너지 효과를이용한 중금속-유기물 복합 오염토양 정화 기술에 관한 활발한 연구를 통한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
실제 오염 환경 조건에서 토양 혹은 식물 조직 내에서PGPB의 거동에 관한 정보는 그리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현재까지 개발된 PGPB의 모니터링 방법은 현장 적용이 곤란하거나, 결과의 신뢰성이 낮거나,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빠르고 쉽고 저렴한 방법의 개발 및 확립에 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식물과 PGPB 사이의 상호작용, PGPB와 토양 자생미생물 군집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PGPB 거동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해석함에 많은 제약이 발생한다. 즉, 중금속 오염토양의 식물상복원법에서 PGPB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PGPB의 거동과 식물-PGPB-자생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또는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metagenomics, metatranscriptomics 및proteomics 등과 같은 오믹스 기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발생된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는 인간의 건강 뿐 아니라 지구생태계의 지속성을위해 매우 중요하다.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 기술 중 식물상복원법은 타 방법에 비해 처리 단가가 저렴하고, 토양 비옥도 및 생물 다양성이 영향을 덜 받는 환경친화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식물상복원법에 식물생장촉진세균(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PGPB)을 도입하여 중금속 독성 하에서 식물 생장을 촉진하고 중금속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토양오염물인 중금속의발생원, 미생물· 식물· 인간에 미치는 중금속 영향 및 PGPB의 식물생장촉진 기작을 정리하였다.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하여 식물상복원에 PGPB의 활용에 관한 최근 10년동안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PGPB의 실제 적용시 중금속 제거 효율에 미치는 다양한 환경 인자와 PGPB의 접종 방법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PGPB 활용 식물상복원 기술의 혁신을 위해서는 실제 현장에서 PGPB의 거동과식물-PGPB-자생미생물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RF-2019R1A2C2006701).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to declare.
Yun-Yeong Lee and Kyung-Suk Cho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3; 51(4): 484-499 https://doi.org/10.48022/mbl.2308.08003Soo Yeon Lee, Yun-Yeong Lee, and Kyung-Suk Cho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1; 49(3): 413-424 https://doi.org/10.48022/mbl.2106.06013Han Min-Hui and Moon Gi-Seong
Microbiol. Biotechnol. Lett. 2020; 48(4): 455-462 https://doi.org/10.48022/mbl.2005.05005